본문 바로가기
2022.01.31 18:06

말의 평가절하

조회 수 16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말의 평가절하

사람을 가리키는 말은 그 대상을 높여서, 혹은 낮춰서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훈장’이라는 말은 좋은 뜻을 가졌었건만 세월이 지나면서 고루한 사람을 가리키는 듯한 의미가 강해졌다. ‘사장’이란 말도 기업인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어느덧 평범한 세속적 호칭이 되었다. 이런 현상은 그 말 자체의 가치 추락이 아니라 사회 변화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에서 비롯한다.

지난날 ‘양반’이란 말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간절히 희구하던 신분이었는가? 이제는 ‘이 양반, 저 양반’ 하고 좀 추켜 주는 듯하면서 오히려 대수롭지 않게 일컫는 말이 되었다. 예전에는 대학을 졸업한 여성들도 ‘주부’로 가정살림과 육아에 전념하는 것을 그리 개의치 않았다. 그러나 요즘은 주부라는 말을 들으면 ‘무급 가사노동자’라는 정도의 의미가 먼저 떠오른다.

1980년대 초만 하더라도 ‘박사’가 드물었다. 어느 대학에서는 ‘교수’라고 부르면 대꾸도 안 하다가 ‘박사’라고 불러야 대답을 했다는 우스개가 나돌 정도였다. 요즘 ‘박사’는 대학원을 졸업했다는 것 외에는 별다른 의미가 없는 것 같다. 아직도 ‘명예박사’니 ‘명예교수’니 하는 말들은 그나마 인정받고 있으나 ‘명예퇴직’ 같은 말은 ‘명예’라는 말의 가치를 크게 흔들어 놓았다. ‘명예퇴직당하다’라는 말이 구성되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시장의 힘이 언어에 미치게 되니 여러 현상이 일어난다. 이익의 사유화, 손실의 사회화라는 법칙이 언어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 같다. 이익이 생기는 새 어휘는 너도나도 사용하려 한다. 반면에 이익이 안 생기는 낡은 말은 주로 약자에게 사용하려 한다. 이제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려면 그들의 호칭과 지칭을 평가절하하는 데 원인을 제공하는 사회적인 불평등 구조를 먼저 해소하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김하수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9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5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231
3149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793
314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748
3147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677
3146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10050
3145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230
3144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874
314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618
3142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488
3141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294
3140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687
3139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628
313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939
3137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334
3136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431
3135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705
3134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513
313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539
3132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727
3131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676
3130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8031
3129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5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