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09 20:53

한자를 몰라도

조회 수 15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자를 몰라도

한자를 잘 아는 사람들이나 잘 모르는 사람들이나 쉽게 믿게 되는 것이, 한자를 알면 의미 파악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다. 정말 그럴까? ‘부모’나 ‘농촌’ 같은 말의 의미를 정말 父母, 農村이라는 한자를 통해서만 쉽게 알 수 있을까?

사실 그러한 어휘의 대부분은 소리만 들어도 금방 그 의미가 떠오르도록 우리의 인지 과정은 고도로 정비되어 있다. 그래서 거의 대부분의 한자어는 ‘한자’라는 중간 단계가 필요 없이 의미를 직접 파악해 버린다. 좀 어려운 말의 경우에, 癡?(치매), 蒙昧(몽매)와 같은 말들은 일일이 한자를 따지느니 그냥 말소리만 외우고 개념을 익히는 게 훨씬 더 편하다.

한자는 원래의 의미를 잃고 어휘의 한 부분으로 변한 경우도 많다. 사람의 모양을 한 노리개를 인형(人形)이라 한다. 한자로 사람의 모양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곰이나 개의 모양으로 만든 것을 웅형(熊形)이나 견형(犬形)이라 하지 않고 그냥 곰 인형, 개 인형이라고 한다. 이미 인형이라는 말이 굳어져 버렸기 때문이다. 이 경우도 한자 ‘人形’은 별다른 기능을 하지 못한다.

저녁거리에 주전부리를 파는 ‘포장마차’를 보라. 말이 끄는 포장마차를 보았는가? 말이 끄는 수레로 비유하다 보니 한자는 있으나 마나 하게 되었다. 수많은 한자어의 처지가 이러하다. 닭의 가슴에 붙은 살을 계륵이라고 했다. 그러나 요즘은 닭가슴살은 영양식으로, 불필요한 군것을 가리켜 계륵이라 한다. 한자의 ‘어휘 의미’로 나타낼 수 없는 ‘감성적 의미’가 풍부해진 것이다.

한자를 몰라도, 또는 안 써도 이제는 언어생활에 큰 불편은 없게 되었다. 2천여 년 동안 인습화된 문자 생활이 겨우 100년 남짓 동안 혁신된 셈이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53
3128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8987
3127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744
3126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930
3125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8857
3124 설둥하다 바람의종 2008.04.25 7076
3123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719
3122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754
3121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701
3120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248
3119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638
3118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057
3117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65
3116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454
3115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785
3114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91
3113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472
3112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8839
3111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736
3110 떡값 바람의종 2008.05.03 6822
3109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402
3108 금덩이·은덩이 바람의종 2008.05.05 10561
3107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9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