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10.15 15:21

세로드립

조회 수 13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로드립

언어의 기능을 교과서적으로 이야기하면, 정보와 사상을 전달하는 수단이라고 줄여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교과서 안의 지식보다 바깥 지식이 더 많듯이, 언어도 교과서 바깥의 기능이 더 많다. 예를 들어 말장난, 남을 놀리거나 약 올리기, 거룩한 대상에 대한 희롱이나 조롱 같은 것들은 언어의 또 다른 다양한 역할이다.

점잖은 작가들은 언어로 사랑과 비애, 순정과 분노를 적절히 걸러내며 그들의 ‘작품’을 만든다. 반대로 세속의 보통사람들은 언어로 온갖 장난을 치며 살아간다. 진지함보다는 가벼움으로, 감정의 승화보다는 배설을 선호한다. 이른바 속세의 말장난들이다. 대중이 생산한 통속문학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래전에 유행했던 ‘덩달이 시리즈’라든지 ‘만득이 시리즈’ 또는 요즘도 간간이 하고 있는 ‘삼행시’ 같은 것들을 예로 들 수 있겠다.

뜻하지 않게 요즈음 ‘세로드립’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등장했다. 가로로 쓴 문장들의 첫 번 음절들을 세로로도 읽을 수 있게 메시지를 이중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가로로 던지는 사연은 긍정적인 것으로, 세로로 말하는 내용은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것으로 엮음으로써 상호모순적이고도 양가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고도의 문학 정신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대중 속에서 끓어오르는 비아냥, 조소 등을 잘 드러내 준다.

이런 작품이 점잖은 공모전에 당선되어 웃음거리가 되고 이러한 언어유희를 놓고 송사까지 벌어지는 모양이다. 희롱당한 측의 노여움은 백분 이해되나 유희나 개그를 대상으로 재판을 벌인다는 것은 더 큰 조롱을 불러들이는 지름길이 되지 않을까 한다. 차라리 스스로를 되돌아보며 그와 같은 찬양 문학의 공모전이 과연 지금의 시대정신에 부합하기는 했는지를 되묻는 것이 가장 슬기로운 길이 아닌가 한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51
3128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8968
3127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711
3126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909
3125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8835
3124 설둥하다 바람의종 2008.04.25 7046
3123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696
3122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721
3121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684
3120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217
3119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628
3118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021
3117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32
3116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401
3115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775
3114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66
3113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462
3112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8814
3111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705
3110 떡값 바람의종 2008.05.03 6791
3109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68
3108 금덩이·은덩이 바람의종 2008.05.05 10558
3107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9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