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06 15:52

치욕의 언어

조회 수 10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치욕의 언어

한국과 일본 정부 사이에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언론을 통해 드러난 내용으로는 일본 정부는 10억엔의 지원 기금을 제공하고, 한국 정부는 이를 ‘최종 해결’로 받아들인 것 같다. 그런데 아직 주장이 엇갈리고는 있지만 위안부 피해자를 상징하는 소녀상을 이전하는 ‘조건’이 붙었다는 설왕설래가 있다. 무언가 이상하다. 피해자들에 대한 인격적 배려 같은 것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마치 무슨 사건 브로커들끼리의 합의서 같다.

언어는 늘 일정한 맥락 속에서 움직인다. 그리고 그에 걸맞은 말투와 표정, 그리고 적절한 수사법이 뒤따라야 한다. 그런데 도덕적인 책임을 표한다고 하면서, 10억엔으로 해결되었다는 둥, 최종적이고도 불가역적이라는 둥 하는 것은 애당초 도덕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기보다는 돈 몇 푼으로 “이거나 먹고 떨어져라” 하고 모욕을 하는 행위에 가깝다.

 식민지 지배와 세계대전은 참혹한 상처를 역사에 남겼다. 이런 가운데 발생한 인권에 대한 혹은 인도적 문제는 ‘인간의 가치’ 문제를 깊이 되돌아보게 만들었다. 프랑스대혁명이 모든 인간이 평등함을 선언하고, 러시아혁명이 노동자들에게 자각을 가능하게 한 것처럼, 한국과 일본은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다루면서, 인간의 가치를 한 단계 더 높은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철학적, 도덕적 계기를 만들어 냈어야 한다.

단순히 약하디약한 여성들의 개인적인 불행이나 고단한 숙명이 아니라 인간의 잔혹한 죄의 대가를 대신 짊어진 대속(代贖)으로 받아들인다면 그 앞에서 돈 액수 혹은 재론을 금지한다거나 또 소녀상 이전 등과 같은 표현은 감히 꺼낼 수도 없었을 것이다. 나라를 대표한다는 그들이 이러한 역사적 대의를 담을 만한 그릇과 깜냥이 아니었음을 여실히 드러내 주고 있다. 이 합의는 치욕의 언어로 가득 찼다. 인간의 가치를 듬뿍 높이는 최종적이고도 불가역적인 감동의 시기는 아직 멀었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3953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5525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9May
    by 風文
    2023/05/29 by 風文
    Views 1308 

    예민한 ‘분’

  5. No Image 30Oct
    by 風文
    2021/10/30 by 風文
    Views 1309 

    말의 미혹

  6. No Image 21Jan
    by 風文
    2022/01/21 by 風文
    Views 1309 

    야민정음

  7. No Image 25Jan
    by 風文
    2022/01/25 by 風文
    Views 1309 

    법과 도덕

  8. No Image 25May
    by 風文
    2020/05/25 by 風文
    Views 1311 

    꼬까울새 / 해독, 치유

  9. No Image 15Oct
    by 風文
    2021/10/15 by 風文
    Views 1311 

    ‘선진화’의 길

  10. No Image 30Nov
    by 風文
    2022/11/30 by 風文
    Views 1311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11. No Image 26Jan
    by 風文
    2022/01/26 by 風文
    Views 1313 

    정당의 이름

  12. No Image 10Jun
    by 風文
    2022/06/10 by 風文
    Views 1313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13. No Image 22Jul
    by 風文
    2022/07/22 by 風文
    Views 1313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14. No Image 09Jun
    by 風文
    2022/06/09 by 風文
    Views 1316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15. No Image 27May
    by 風文
    2020/05/27 by 風文
    Views 1317 

    교정, 교열 / 전공의

  16. No Image 13Jun
    by 風文
    2022/06/13 by 風文
    Views 1318 

    개념의 차이, 문화어

  17. No Image 15Nov
    by 風文
    2023/11/15 by 風文
    Views 1319 

    저리다 / 절이다

  18. No Image 13Apr
    by 風文
    2023/04/13 by 風文
    Views 1321 

    '김'의 예언

  19. No Image 28Oct
    by 風文
    2021/10/28 by 風文
    Views 1323 

    난민과 탈북자

  20. No Image 28Jan
    by 風文
    2022/01/28 by 風文
    Views 1323 

    외래어의 된소리

  21. No Image 30May
    by 風文
    2020/05/30 by 風文
    Views 1324 

    매뉴얼 / 동통

  22. No Image 23May
    by 風文
    2022/05/23 by 風文
    Views 1324 

    날씨와 인사

  23. No Image 08Sep
    by 風文
    2022/09/08 by 風文
    Views 1324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24. No Image 27Jul
    by 風文
    2022/07/27 by 風文
    Views 1326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25. No Image 11May
    by 風文
    2022/05/11 by 風文
    Views 1327 

    세계어 배우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