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6.21 14:51

-시- ① / -시- ②

조회 수 175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시- ①

환하게 웃으며 “안녕하세요? ○○씨, 맛있는 아메리카노 한 잔 주세요” 이렇게 주문하면 커피가 반값이 된다. 무표정하게 “아메리카노 한 잔” 하면 제값 다 치러야 하고, 무뚝뚝하게 “아메리카노”라고 짧게 말하면 벌금처럼 값이 더해져 정가의 1.5배를 내야 한다. 어떻게 주문하느냐에 따라 커피 값이 할인되고 할증되는 셈이다. 한 커피 체인점이 점원을 존중하고 배려하자는 취지에서 마련한 이벤트다. ‘커피 한 잔’(7유로), ‘커피 한 잔 부탁해요’(4.25유로), ‘안녕하세요, 커피 한 잔 부탁해요’(1.4유로)를 가격표에 써놓은 프랑스의 한 카페에서 착안한 것으로 보인다.

‘고객과 바리스타가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자’는 취지로 시작한 ‘따뜻한 말 한마디’ 행사의 반응이 꽤 좋다는 게 회사 쪽 분석이다. 체인점의 한 매장을 찾아 점원에게 물어보니 “모두 반값에 드렸다” 한다. 무뚝뚝하게 주문한 손님에겐 ‘앞으로 잘 부탁한다’는 뜻을 담아 그랬을 것이다. 행사 취지가 잘 이뤄지면 이른바 ‘진상고객’은 줄어들고 가게 분위기는 밝아질 것이다. 그래서 좋다, 끝? 아니다, 접어 두었던 아쉬움이 더 커졌다. 관련 소식을 접하면서 이전부터 겪어왔던 불편했던 기억이 스멀대며 떠올랐기 때문이다. ‘커피 나오셨습니다’, ‘거스름돈이세요’ 따위의 사물을 높이는 얼치기 화법 탓이다.

김선우 시인은 “남발되는 높임 선어말어미 ‘-시-’의 문제는 비문이어서만이 아니다. 말 속에 교묘히 들어 있는 ‘비굴함’의 강제 때문이기에 당장 바로잡아야 한다”고 목소리 높인다. 일리 있는 말이다. 손님을 불쾌하게 하는 점원의 어긋난 존대법은 넓게 퍼져 있는 구조적인 문제이고 ‘진상손님’은 어쩌다 나오는 개별적인 문제다. 이른바 ‘갑질손님’의 피해자는 동정과 공감을 얻지만 말 같지 않은 화법에 노출된 손님의 불편한 마음을 풀어낼 방법은 딱히 찾기 어렵다. ‘괴상한 높임말’의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

-시- ②

새색시가 시아버지께 아침 인사를 했다. “아버지, 잘 잤나요?” 시어머니의 불호령이 떨어졌다. “‘님’과 ‘시’를 붙이면 존댓말이 된다”는 신랑의 말을 듣고 밤새 연습한 새색시, 이튿날 환하게 웃으며 인사한다. “아버님 대갈님에 검불님이 붙으셨어요.” 오래된 우스개다. 옛날이야기 속의 이런 일이 요즘에도 널려 있다. “커피 나오셨습니다”, “거스름돈 800원이십니다” 따위의 말이 꼭 그 짝이다.

 ‘사물 존대’를 꼬집은 기사는 2006년부터 등장한다. 그릇된 높임말의 역사가 십년 가까이 된 셈이다. 찻집이나 백화점 같은 곳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이는 선어말어미 ‘-시-’의 오용은 “체납세가 있으십니다”처럼 공무원 사회에도 만연해 있다. “점원에게 잘못을 일러주는 것도 지쳤다”는 볼멘소리가 그치지 않지만, “사물 존대를 하지 않았다고 ‘무시당했다’며 항의하는 손님 탓에 조심스럽다”는 변명도 없지 않다.

해마다 ‘고객 응대 문안’을 국어전문상담소에 의뢰해 감수받는 백화점이 있다. 임직원을 대상으로 ‘우리말 바로쓰기 캠페인’을 펼치는 곳도 있다. 해당 백화점을 찾아보니 여느 곳보다 낫긴 하지만 ‘사이즈가 없으시다’ 같은 표현은 여전했다. 손님에게 바른 존대어를 쓰자는 취지와 현장의 상황은 차이가 있는 것이다. ‘괴상한 높임말’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먼저, ‘소비자주권운동’을 들 수 있다. 손님들이 점원의 그릇된 높임말을 정중하게 바로잡아주는 것이다. 사물을 높이는 화법 탓에 소비자가 대접받지 못하는 풍토를 바로잡기 위한 시민운동이다. 여의치 않으면 불매운동을 할 수도 있겠다. 커피 체인점 등의 ‘고객 응대 화법’을 다듬기 위해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방법도 있다. 일정 규모 이상의 업체는 ‘표준 언어 예절’을 지키도록 법으로 규제하는 것이다. 이 모든 것에 앞서는 것이 화법 교육을 제대로 하는 것이다. 반듯한 우리말을 하는 게 상식인 사회가 되면 절로 이루어질 일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95
3370 자웅을 겨루다 바람의종 2008.01.28 20807
3369 잔떨림 윤안젤로 2013.03.18 20747
3368 들어눕다 / 드러눕다, 들어내다 / 드러내다 바람의종 2012.08.16 20740
3367 고수레 風磬 2006.09.18 20603
3366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519
3365 외래어 합성어 적기 1 바람의종 2012.12.12 20449
3364 뒤처리 / 뒷처리 바람의종 2008.06.07 20382
3363 옴쭉달싹, 옴짝달싹, 꼼짝달싹, 움쭉달싹 바람의종 2010.08.11 20342
3362 회가 동하다 바람의종 2008.02.01 20324
3361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319
3360 요, 오 風磬 2006.09.09 20271
3359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107
3358 배알이 꼬인다 바람의종 2008.01.12 20060
3357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20003
3356 역할 / 역활 바람의종 2009.08.27 19970
3355 진무르다, 짓무르다 바람의종 2010.07.21 19930
3354 봄날은 온다 윤안젤로 2013.03.27 19880
3353 조개 바람의종 2013.02.05 19848
3352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818
3351 베짱이, 배짱이 / 째째하다, 쩨제하다 바람의종 2012.07.02 19804
3350 기가 막히다 바람의종 2007.12.29 19727
3349 매기다와 메기다 바람의종 2010.03.12 196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