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1.06 16:26

조리다, 졸이다

조회 수 1554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조리다, 졸이다

“지금이야 제철이 아니라도 반찬 재료들을 쉽게 구할 수 있지만 과거에는 봄이 돼야만 신선한 채소를 맛볼 수 있었다. 그 시절 겨울이 되면 아무래도 김치 외에는 반찬거리가 마땅치 않아서 ‘콩졸임’이나 ‘멸치졸임’ 같은 밑반찬들이 식탁에서 큰 역할을 했다.” 위 예문의 ‘콩졸임’ ‘멸치졸임’은 바른 표현일까.
 ‘조리다’는 어떤 재료에 양념을 넣고 끓여서 맛이 배어들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조리다’ 앞에는 대체로 양념이 배어들게 할 재료가 나온다. ‘졸이다’는 재료에 양념이 배어들도록 하려는 게 아니다. 다만 액체 등에 열을 가해 증발토록 함으로써 농도를 진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약을 졸이다’ ‘간장을 졸이다’와 같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콩졸임’ ‘멸치졸임’의 경우는 콩이나 멸치 같은 재료에 짭짤하게 양념이 배도록 해 반찬으로 만드는 게 목적이므로 ‘콩조림’ ‘멸치조림’으로 쓰는 게 옳다. 한편 ‘졸이다’에는 ‘찌개·국·한약 따위의 물을 증발시켜 분량이 적어지게 하다’란 뜻 외에 ‘속을 태우다시피 초조해하다’란 의미도 있다. “박지성은 장거리 비행으로 무릎에 이상이 생기지 않을까 마음을 졸였다” 같은 경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74
2996 바람의종 2008.07.28 6382
2995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50
2994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247
2993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7064
2992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42
2991 바람의종 2008.08.03 6730
2990 이력서 바람의종 2008.08.03 5375
2989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713
2988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68
2987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815
2986 바람의종 2008.08.08 5847
2985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872
2984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304
2983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86
2982 철쭉 바람의종 2008.08.13 8792
2981 바람의종 2008.08.21 7344
2980 설명글 바람의종 2008.08.21 5393
2979 보게‘마씀’ 바람의종 2008.08.27 7156
2978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8165
2977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98
2976 돼지 바람의종 2008.08.28 6229
2975 일러두기 바람의종 2008.09.02 64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