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96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행상을 한 할머니는 철수가 바르게 클 수 있도록 궂은일도 마다 않고 뒷바라지를 했다.”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누군가 먼 길을 마다 않고 한달음에 달려와 자기 일처럼 해주면 얼마나 좋겠는가.”

눈에 자주 띄는 예문이다. 여기서 ‘마다 않고’의 ‘마다’는 ‘마다하다’의 어근이다. ‘마다하다’는 ‘거절하거나 싫다고 하다’를 뜻한다. 어근은 단어를 분석할 때 필요한 개념이다. 용언으로서 단어가 문장에서 제 기능을 다하려면 어근만 가지고선 안 된다. 따라서 ‘마다하지 않고’로 적어야 옳다.

인터넷상의 축약된 언어가 일상 언어에 영향을 미쳐서인지 이처럼 줄여 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무턱대고 말을 잘라 사용해서는 안 된다.

“바깥의 소란에도 아랑곳 않고 영자는 고개를 숙인 채 일에 열중했다”의 ‘아랑곳 않고’는 어떨까. 여기서도 ‘아랑곳하지 않고’로 쓰는 것이 바른 용법이다. 그러나 ‘아랑곳 않고’는 허용될 만하다. ‘마다’와 달리 ‘아랑곳’은 ‘일에 나서서 참견하거나 관심을 두는 일’이란 뜻의 명사다. 또 “그녀는 그 젊은이의 반응 따위는 아랑곳을 않으려는 투였다”처럼 ‘아랑곳’ 뒤에 ‘을’이 생략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못하다, 머지않다, 못지않다’처럼 한 단어로 인정받았으면 모를까 ‘마다않다’는 아직 허용되지 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9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413
2974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316
2973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797
2972 일절과 일체 바람의종 2012.11.21 15252
2971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227
2970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357
2969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792
2968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24
2967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69
2966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860
2965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69
2964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362
2963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761
2962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163
2961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2.10.15 10540
2960 응큼하다 바람의종 2012.10.09 13372
2959 진면목 바람의종 2012.10.09 10327
2958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139
2957 전년도, 회계연도 바람의종 2012.10.08 12397
»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바람의종 2012.10.05 16967
2955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748
2954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6043
2953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4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