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150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일찍이 최승자 시인은 노래했다. “일찌기 나는 아무것도 아니었다”라고…. 1981년 펴낸 시집 『이 시대의 사랑』에 실린 ‘일찌기 나는’이란 시의 첫 구절은 이렇게 시작된다.

예전의 인쇄물을 보면 ‘일찌기’라는 표기가 눈에 많이 띈다. 하지만 현재의 맞춤법 규정엔 ‘일찍이’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1988년 맞춤법이 개정되면서 ‘일찍이’로 쓰도록 했기 때문이다. 발음 습관에 따라, 혹은 감정적 의미를 더하기 위해 독립적인 부사 형태에 ‘-이’가 결합된 경우엔 그 부사의 원형을 밝혀 적도록 하고 있다.

‘일정한 시간보다 이르게, 예전에’라는 뜻의 ‘일찍이’는 부사 ‘일찍’에 ‘-이’가 붙은 것이다. 맞춤법 개정 이전엔 ‘일찌기’가 표준말이어서 아직까지 혼동하는 사람이 많지만 “인상파 화가 세잔은 대상을 바라보며 그것을 있는 그대로 그린다는 게 불가능하다는 걸 일찍이 깨달았다”처럼 써야 한다.

‘그러한 데다가 더’란 뜻의 ‘더욱이’도 마찬가지다. 전에는 ‘더우기’로 적었지만 지금은 원형을 밝힌 ‘더욱이’가 바른말이다. ‘오뚝이, 곰곰이, 생긋이, 해죽이’ 등이 모두 그러한 예로 표기에 주의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3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8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781
2974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307
2973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789
2972 일절과 일체 바람의종 2012.11.21 15248
2971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226
2970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355
2969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772
2968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19
2967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63
2966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848
2965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65
2964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353
2963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761
2962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150
2961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2.10.15 10537
2960 응큼하다 바람의종 2012.10.09 13369
2959 진면목 바람의종 2012.10.09 10327
2958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131
2957 전년도, 회계연도 바람의종 2012.10.08 12397
2956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바람의종 2012.10.05 16962
2955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746
2954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6025
2953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4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