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1.01 21:13

팥죽에 새알심

조회 수 11321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팥죽에 새알심

동지를 예전엔 '작은설'이라 하여 사실상 새해의 시작으로 여겼다.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동지가 지나면 낮이 다시 길어져 태양의 기운이 새롭게 회복된다고 믿었던 것이다. 책력을 나눠 주고, 액을 쫓아 준다는 붉은빛의 팥죽을 쑤어 먹으며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고 한 것도 이 때문이다. 동지팥죽엔 반죽한 수수나 찹쌀가루를 새알처럼 동글동글하게 빚어 넣어 이를 제 나이만큼 먹는다. 지역마다 오그랑이.오그랭이.새알.새알심.옹심이.옹시미.옹시래미 등 부르는 이름도 무척 다양하다.
 "북한에선 동짓날 찹쌀.밀 등 낟알가루를 반죽해 둥글게 빚은 떡인 오그랑이를 넣고 오그랑팥죽을 끓여 먹는다" "제사를 지낼 때 쓰는 팥죽에는 새알을 넣지 않고 잡귀를 쫓는 데 사용하는 팥죽에는 새알심을 넣는 지방도 있다" "감자 옹심이는 감자를 갈아 물기를 짜낸 뒤 녹말가루와 섞어 새알처럼 만든 다음 육수와 함께 끓여 낸 강원도의 별미다"와 같이 제각각 쓰고 있으나 현재 '새알심'만 표준어로 인정한다. 특히 크기와 모양이 새알 비슷하다 하여 '새알'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이는 강원도와 경상도 지방의 사투리다.

같은 동지라도 음력 11월 10일이 채 못 되어 들면 '애동지' 또는 '오동지'라 하는데 올해는 애동지에 해당한다. 애동지엔 새알심을 넣은 팥죽 대신 팥시루떡을 해 먹기도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59
268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973
267 파이팅, 오바이트, 플레이, 커닝 바람의종 2008.09.23 8928
266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10041
265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10085
264 파티쉐 바람의종 2009.09.18 10422
263 팔색조 바람의종 2009.10.07 8136
262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6282
261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9168
» 팥죽에 새알심 바람의종 2010.11.01 11321
259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9381
258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715
257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203
256 패이다 바람의종 2008.12.11 15044
255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3017
254 퍼센트포인트 바람의종 2011.11.24 13520
253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7044
252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593
251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1276
250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353
249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1315
248 평가하다, 때문에 바람의종 2008.11.21 7797
247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20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