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357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요즘 우리 사회에서 쓰는 말들이 너무 거칠다. 지나가다 들어보면 아이들의 입에서도 욕설이 예사로 나온다. 정치권은 말할 것도 없다. 여당 야당 가릴 것 없이 막말이 오간다. 막말의 대상에도 제한이 없다. 이번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불필요하게 상대를 비난하지 않고 국정의 미비점을 제대로 지적한 몇몇 의원이 주목을 받았다. 사실은 그렇게 하는 것이 당연한데도 그런 정치인이 돋보일 만큼 우리 정치가 제 궤도에서 벗어나 있다는 방증일 것이다. 예를 갖춰 대하면 상대방도 함부로 하지 못하는 법이다. 웃는 얼굴로 문제점은 철저하게 따져나가는 이성적인 정치를 보고 싶다.

웃는 얼굴 얘기가 나왔으니 흔히 헷갈리는 '미소를 띠다'와 '미소를 띄우다' 중 어느 것이 옳은지 알아보자. '띠다'는 '빛깔이나 색채 따위를 가지다' '감정이나 기운 따위를 나타내다' '어떤 성질을 가지다'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홍조를 띤 얼굴' '토론은 열기를 띠기 시작했다' '그 신문은 진보적 색채를 띠고 있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 '띄우다'는 주로 '뜨다'의 사동사로 쓰인다. 즉 '뜨게 하다'라는 뜻이다. '수정과에 잣을 띄우다' '강물에 배를 띄우다' '메주를 띄우다' '간격을 띄워서 앉아라' '두 칸을 띄운 다음 이름을 써라'처럼 쓴다. 미소의 경우는 얼굴에 감정을 나타내는 것이어서 '뜨게 하다'란 의미를 지닌 '띄우다'를 쓰지 않고 '띠다'를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60
3172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699
3171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726
3170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915
3169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211
3168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212
3167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469
3166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446
316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853
3164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182
3163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806
3162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386
3161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481
3160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824
3159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311
3158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7078
3157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916
3156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533
3155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269
3154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742
3153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7054
3152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734
3151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6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