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919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선남선녀의 알콩달콩한 사랑 만들기는 부담 없이 즐기기에 더없이 좋은 소재다.' '우여곡절 끝에 두 사람은 결혼에 성공해 알콩달콩 잘 살고 있다.'

'알콩달콩'은 널리 쓰이다가 최근에 그 실체성을 인정받은 말이다. '아기자기하고 아주 즐거운 모양''잔재미가 있고 즐겁게'의 의미를 가진 부사다. '알콩달콩하다'의 형태로 쓰면 형용사가 된다. 훈민정음국어사전(2004년 발간)에 올림말로 실려 있다.

'오손도손'으로 잘못 쓰기 쉬운 '오순도순'(의좋게 지내거나 이야기하는 모양)은 '오랜만에 만난 형제들끼리 오순도순 이야기를 나누었다' '단칸 셋방일망정 우리 식구는 오순도순 잘 지내고 있다'처럼 쓰인다.

'여러 가지가 오밀조밀 어울려 예쁜 모양''잔재미가 있고 즐거운 모양'을 뜻하는 '아기자기'는 '우리 산천은 매우 아기자기하고 아름답다' '그들 신혼부부가 아기자기하게 살아가는 모습은 보기에 정말 좋다'와 같이 사용된다.

'오순도순'에는 '다툼이 없이 사이좋게'의 의미가, '아기자기'에는 '동화처럼 오밀조밀 예쁘게'의 뜻이 강하다. '알콩달콩'의 뜻은 '아기자기'와 거의 같지만 '아기자기'보다 더 재미있고 즐거우며, 약간의 토닥거리는 사랑싸움도 내포돼 있어 동적인 느낌이 더하다.

이들과 달리 '오밀조밀(奧密稠密)'은 한자어로 '솜씨나 재간이 매우 세밀하고 교묘한 모양'을 뜻한다. '이 정원은 주인의 오밀조밀한 화훼 솜씨를 잘 보여준다'처럼 쓰면 된다. 이렇듯 우리말은 매우 섬세한 느낌까지 구별해 표현할 수 있다.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6291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2855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7886
    read more
  4. 죄다, 죄여, 조이다, 조여

    Date2010.06.20 By바람의종 Views19415
    Read More
  5. 게거품

    Date2006.09.14 By風磬 Views19320
    Read More
  6. 배부, 배포

    Date2012.03.05 By바람의종 Views19241
    Read More
  7. 볼장 다보다

    Date2008.01.13 By바람의종 Views19222
    Read More
  8. 널브러지다, 널부러지다, 너부러지다

    Date2010.06.16 By바람의종 Views19219
    Read More
  9.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Date2009.03.08 By바람의종 Views19192
    Read More
  10. 폭탄주! 말지 말자.

    Date2012.12.17 By바람의종 Views19071
    Read More
  11. 학을 떼다, 염병, 지랄

    Date2010.02.09 By바람의종 Views19032
    Read More
  12. 빌려 오다, 빌려 주다, 꾸다, 뀌다

    Date2010.07.25 By바람의종 Views18916
    Read More
  13. 수입산? 외국산?

    Date2012.12.03 By바람의종 Views18898
    Read More
  14. 초생달 / 초승달, 으슥하다 / 이슥하다, 비로소 / 비로서

    Date2011.11.15 By바람의종 Views18760
    Read More
  15. 주접떨다, 주접든다

    Date2009.03.23 By바람의종 Views18706
    Read More
  16.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Date2012.06.11 By바람의종 Views18686
    Read More
  17. 차후, 추후

    Date2012.06.15 By바람의종 Views18548
    Read More
  18. 황제

    Date2012.11.02 By바람의종 Views18497
    Read More
  19. 박물관은 살아있다

    Date2012.11.30 By바람의종 Views18442
    Read More
  20. "드리다"의 띄어쓰기

    Date2009.09.01 By바람의종 Views18340
    Read More
  21. 환갑

    Date2007.10.06 By바람의종 Views18207
    Read More
  22. 하모, 갯장어, 꼼장어, 아나고, 붕장어

    Date2010.07.19 By바람의종 Views18070
    Read More
  23. 담배 한 까치, 한 개비, 한 개피

    Date2010.10.16 By바람의종 Views18003
    Read More
  24. 육시랄 놈

    Date2008.02.29 By바람의종 Views17998
    Read More
  25. 등용문

    Date2013.01.15 By바람의종 Views1799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