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88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늑장, 늦장/터뜨리다, 터트리다/가뭄, 가물

무슨 일을 관련자가 늦게 처리해 큰일이 발생했을 때 자주 접하는 말이 '늑장'입니다. '늑장 행정이 또다시 인재(人災) 불러'와 같은 표현을 예로 들 수 있지요. 이 경우 '늑장'은 '늦장'을 잘못 쓴 것이 아닌가 의심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일을 늦게 처리해 사고가 생겼으니까 늦장만 맞고 늑장은 틀렸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그러나 표준어 규정에 따르면 '늑장'과 '늦장'은 복수 표준어입니다. 홍수가 무너뜨린 제방을 다음해까지 제대로 복구하지 않고 있다가 장마철을 앞두고 대충 마무리한 것이 다시 큰물에 쓸려가 큰 피해를 봤다면 이는 늑장 행정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같은 피해 사실을 글로 표현할 경우 '큰물이 제방을 무너뜨렸다'와 '큰물이 제방을 무너트렸다' 둘 중 어느 것이 맞는 걸까요. 어느 것을 써야 할까 고심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뜨리다'와 '-트리다' 역시 복수 표준어이기 때문입니다. '터뜨리다/터트리다' '퍼뜨리다/퍼트리다' '깨뜨리다/깨트리다'등이 이런 예입니다. 비가 너무 많이 와도 문제지만 너무 안 와도 곤란하지요. 비가 모자람을 뜻하는 '가뭄'과 '가물'도 모두 표준어입니다. 봄철에 가물이 들면 농사에 지장이 많고 산불도 우려됩니다. 봄에는 바람이 많고 아직 나무에 충분히 물이 오르지 않아 불이 나면 쉽게 번지니까요.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는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올해는 가뭄·홍수에 미리 대비해 '늑장 대처'라는 말이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66
3150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479
3149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480
3148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480
3147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486
3146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487
3145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489
3144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490
3143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94
3142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497
3141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497
3140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503
3139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503
3138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507
3137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510
3136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511
3135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511
3134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512
3133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13
3132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15
3131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516
3130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520
3129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5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