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7 14:01

간(間)의 띄어쓰기

조회 수 1154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간(間)의 띄어쓰기

4·15 총선이 끝났다. 지난 대선 이후 '일 년간' 유지됐던 '여야 간'이나 '보수와 진보 간' 대결 구도를 말끔히 씻어버리자. 국민은 먹고살 일을 걱정하고 있다. 이제는 '서로 간'에 화합의 길로 나아가 국민의 에너지를 한 곳에 결집해 민생 경제를 살릴 때다. 앞글에서처럼 '간(間)'은 우리말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그 쓰임에 따라 띄어쓰기가 달라진다. 그래서 어떻게 띄어 써야 할지 헷갈릴 때가 많다. 간단히 정리해 보자. '간(間)'이 '길이'(한 간은 여섯 자)나 '넓이'(한 간은 보통 여섯 자 제곱)의 단위, '사이'(서울과 부산 간)나 '관계'(부모와 자식 간)의 뜻일 때는 의존명사여서 띄어 쓴다. 또한 '어느 쪽인지를 가리지 않는다'(공부를 하든지 운동을 하든지 간에 열심히만 해라/그녀가 나를 좋아하거나 말거나 간에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는 뜻을 나타낼 때도 의존명사다.

반면 '-간(間)'이 기간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동안'(이틀간, 한 달간)을 나타내거나 몇몇 명사 뒤에 붙어 '장소'(대장간, 외양간)의 뜻일 때는 접미사로 앞말에 붙여 쓴다. 그러나 위의 구분이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다년간, 고부간, 다소간, 동기간, 부부간, 부자간, 인척간' 등처럼 한 단어로 인정돼 사전에 올라 있는 경우는 붙여 쓴다. 이들 중 '다년간'은 기간을 나타내므로 위 구분을 적용해도 띄어쓰기에 어긋나지 않지만, 나머지는 앞의 구분과 달리 붙여 써야 한다. 이런 단어는 외울 수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08
311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376
31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499
309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846
30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694
307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19
306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10
305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356
304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577
30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398
302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336
301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282
300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588
299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145
29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781
297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397
»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49
295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029
294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188
29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373
292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614
291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