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46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암(수)캐’가 ‘암(수)개’로

우리의 어문 규범은 맞춤법 규정 제31항에서 ‘ㅎ’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도록 되어 있고, 표준어 규정 제7항 ‘다만’에서는 암수를 나타내는 단어 아홉개에 대하여 ‘ㅎ’을 첨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 예는 ‘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키와’, ‘수탉’, ‘수탕나귀’, ‘수톨쩌귀’, ‘수퇘지’, ‘수평아리’ 등이다.

이에 대하여 북한에서는 <조선말 띄여쓰기규범>(2000) ‘부록’에서 ‘표기를 바로잡은 단어’라 하여 스무개를 제시하고 ‘ㅎ’을 덧붙여 쓰지 않음을 밝혔다. 그 예는 강냉이, 강아지, 거미, 고양이, 곰, 기와, 개, 개미, 게, 꿩, 괭이(고양이의 준말), 닭, 돌쩌귀, 돼지, 밤나무, 밤송이, 벌, 범, 병아리, 비둘기 등이다. 이 가운데 특히 ‘괭이’는 바로잡기 전에는 ‘쾡이’가 아닌 ‘암(수)쾌이’였다.

북한은 1966년의 <조선말규범집>에서부터 사이시옷도 제거하였다. 그리하여 우리의 ‘냇가’는 북한에서는 ‘내가’로 표기되고 우리의 ‘등굣길’은 당연히 ‘등교길’로 표기된다. 북한에서 사이시옷의 폐기와 더불어 사이히읗의 제거는 파생어와 합성어 형성에서 변형되어 있던 원래의 명사 어근을 뚜렷이 드러나게 한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7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2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70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377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4015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036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000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817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227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046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776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252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261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55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548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337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834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282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662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967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470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105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872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5161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5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