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06 10:26

하영 먹어마씀!

조회 수 934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영 먹어마씀!

고장말

‘하영’은 표준어 ‘많이’에 대응하는 제주 지역의 고장말이다. 경상 지역의 고장말 ‘한거’와 마찬가지로 ‘하영’은 ‘많다’ 또는 ‘크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하다’의 어근 ‘하-’와 토 ‘-영’이 결합되어 부사로 굳어진 말이다. ‘-영’은 제주말에서 주로 ‘하다(많다)’나 ‘족다(작다)’에 결합되어 부사형을 만드는 토로 표준어 ‘-게’와 대응되는 고장말이다. “사실이 그렇댄 해도 밥 하영 먹는 식모옌 사방팔방에 놈(남)한티 소문내는 벱이 어디 이시니?”(<순이 삼촌> 현기영) “길녜, 하영 잡았구만. 재기재기(빨리빨리) 와서 불추라(불 쬐라).”(<밀물> 강인수)

‘많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하다’는 우리말에서 이미 그 자취를 감추었지만, 제주 지역에서는 여전히 형용사로 사용되고 있다. ‘아래아’(·)가 사라지기 이전 시기에는 형용사 ‘하다’(많다)와 동사 ‘N다’(>하다)가 서로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래아’(·)의 소실과 함께 ‘N다’가 ‘하다’로 변하면서 결국 형용사 ‘하다’와 동사 ‘하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38
3260 공부 바람의종 2007.06.03 7144
3259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39
3258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199
3257 국수 바람의종 2007.06.05 7390
3256 굴지 바람의종 2007.06.05 6904
3255 귀감 바람의종 2007.06.06 8604
3254 금일봉 바람의종 2007.06.06 10047
3253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11
3252 기별 바람의종 2007.06.07 8639
3251 기우 바람의종 2007.06.08 10398
3250 기지촌 바람의종 2007.06.08 6764
3249 나락 바람의종 2007.06.09 6650
3248 낙점 바람의종 2007.06.09 7960
3247 낭패 바람의종 2007.06.10 6848
3246 노골적 바람의종 2007.06.10 6982
3245 노동1호 바람의종 2007.06.11 8448
3244 노비 바람의종 2007.06.11 6813
3243 노파심 바람의종 2007.06.12 8150
3242 농성 바람의종 2007.06.12 6851
3241 다반사 바람의종 2007.06.20 7720
3240 단말마 바람의종 2007.06.20 7152
3239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8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