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29 20:22

가댔수?

조회 수 680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댔수?

고장말

‘-댔-’은 표준어 ‘-었/았-’에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댔-’은 사건·행위가 과거에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토인데, 주로 평안·황해 지역에서 쓰인다. “인민군대에 나간 외아들이 전사한 뒤 로인 내외가 외롭게 살댔는데 집이 무너져 한지에 나앉게 되여 ….”(<해당화 피는 땅> 김영선·북녘작가) “좀 전에 남옥 동무가 찾댔는데 ….”(<그마음 별빛처럼> 권형운·북녘) ‘-댔-’은 ‘-다고 했-’에서 온 말이다. 그래선지 ‘-댔-’에는 인용 뜻이 담겼다. “아저씬, 내가 98킬로 나갈 때두 예쁘댔던 사람이잖아.”(<그대의 차가운 손> 한강)

북녘에서 나온 <조선말대사전>에서 ‘-댔-’은 고장말 아닌 문화어로 올랐다. <조선말대사전>에서 ‘-댔-’은 ‘-았댔-’ 혹은 ‘-었댔-’과 같은 꼴로 쓰여 ‘겪었던 사실을 돌이켜 말할 때’ 쓰이는 토로 풀이돼 있다. ‘-댔-’이 ‘-다고 했-’이 줄어든 말이라면, ‘-었댔-’은 ‘-었다고 했-’이 준 말이다. “너희들 오늘 만경봉에 올라갔댔지?”(<조선말대사전>) “동무네는 간밤에 어디 갔댔나? 이기겠다구 무던히 악을 쓰더군.”(<경쟁> 석윤기·북녘) ‘-았댔-’은 강원과 충북 쪽에서도 쓰임을 찾아볼 수 있다. “산이 좀 짚어서 물이 언제든지 떨어지지 않았댔어요.”(<한국구비문학대계> 충북편) “치매를 뒤집어쓰고 거가 빠져 죽었댔어요.”(위 책, 강원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74
3194 쌩얼, 민낯, 맨얼굴, 민얼굴 바람의종 2011.12.05 14636
3193 번번이 / 번번히 바람의종 2012.05.07 14633
3192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바람의종 2009.05.01 14613
3191 훈민정음 반포 565돌 바람의종 2011.11.20 14606
3190 ‘가로뜨다’와 ‘소행’ 바람의종 2010.07.09 14602
3189 넉넉지/넉넉치 바람의종 2009.03.17 14573
3188 뇌살, 뇌쇄 / 다례, 차례 / 금슬, 금술, 금실 / 귀절, 구절 바람의종 2010.03.24 14520
3187 진이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30 14477
3186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바람의종 2009.03.29 14477
3185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475
3184 어깨 넘어, 어깨너머 바람의종 2009.08.01 14471
3183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469
3182 널빤지, 널판지, 골판지 바람의종 2009.09.23 14464
3181 담갔다, 담았다, 담그다 바람의종 2010.11.10 14456
3180 겸연쩍다, 멋쩍다, 맥쩍다 바람의종 2009.07.25 14416
3179 하꼬방 바람의종 2011.11.30 14407
3178 옛부터? 바람의종 2010.03.19 14402
3177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396
3176 오락·문화용어 바람의종 2010.03.19 14381
3175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373
3174 며늘아기, 며늘아가 바람의종 2010.08.06 14371
3173 십상이다 바람의종 2010.08.11 143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