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7 04:47

해오라기

조회 수 845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오라기

짐승이름

“까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마라/ 성난 까마귀 흰빛을 새오나니/ 창파에 조이 씻은 몸 더럽힐까 하노라”(백로가)

포은 정몽주 선생의 어머니께서 아들을 백로에 비기고 상대 무리를 까마귀에 비겼다. 썩 풍자적이다. 포은을 기리고자 세운 영천 임고서원, 오백년 넘은 은행나무는 잎은 다 졌으나 드높은 기상은 예나 다르지 않다. 해오라기에는 알락해오라기와 덤불백로가 있다. 앞엣것은 황갈색 해오라기를 모두 이르고, 뒤엣것은 주로 미주 지역에 사는 텃새로 작은 해오라기를 두루 이른다.

‘백로’는 우리말로 ‘해오라기’다. 경상도 말로는 ‘해오라비’다. 백로의 백(白)과 해오라기의 ‘해’는 같다. ‘해맑다-해끔하다-해사하다-해쓱하다-해말쑥하다-해반드르르하다 …’에서 ‘해’는 분명 희다는 뜻을 알맹이로 한다.

그럼 ‘오라기’는 무엇인가? 더러 해오라기를 ‘해오리’라고도 부른다. 아주 시사적이다. ‘오리’의 짜임은 ‘올+이’로서 오리(鴨)와 같은 말로 보면 좋을 것이다. 물 위에 떠다니며 물고기를 잡아먹고, 때로는 하늘 높이 날아 고고한 자태를 드러낸다. 옛말로는 ‘하야로비’(鷺·훈몽자회), ‘하야루비’(백련초해), ‘해오리’(청구영언)다. 이 가운데 가장 해오라기와 가까워 보이는 게 ‘해오리’로, 준말로 다루기도 한다. 세밑을 맞아 겉 희고 속 검은 일은 없는지 되돌아볼 일이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6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59
3326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바람의종 2010.11.26 47916
3325 핸드폰, 휴대전화 바람의종 2008.11.19 6761
3324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788
3323 해프닝 바람의종 2010.03.22 10700
3322 해장 바람의종 2012.07.23 13396
3321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367
»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455
3319 해설피 바람의종 2010.05.31 14760
3318 해라體와 하라體 바람의종 2008.05.12 6806
3317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7924
3316 핫어미와 핫아비 바람의종 2010.01.23 11711
3315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238
3314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922
3313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303
3312 합쇼체 바람의종 2010.03.18 12171
3311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2008
3310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904
3309 함함하다 바람의종 2012.05.18 11224
3308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303
3307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바람의종 2009.03.29 14444
3306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531
3305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99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