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8 00:07

소양강·우수주

조회 수 729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양강·우수주

땅이름

춘천의 옛이름은 ‘우수주’였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우수주’(牛首州)의 ‘수’를 ‘두’(頭)라고도 하였으며, 수차약(首次若)·오근내(烏根乃)도 우수주의 별칭이었음을 기록한 바 있다. ‘우’는 ‘소’이니 ‘우수’는 ‘소ㅁ.ㄹ.’(쇠ㅁ.ㄹ.)로 읽을 수 있으며, ‘수차약’의 ‘약’은 인칭대명사 ‘너’를 뜻하는 말이므로 ‘내’를 뜻하는 표기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는 ‘오근내’의 ‘내’에서도 확인된다.

‘소양강’이란 이름은 <삼국사기>나 <고려사>의 지리지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한강 지류를 설명한 <용비어천가>에는 “(한강의 한 근원이) 강원도 인제현 이포(伊布)[잇뵈]에서 시작해 춘천부의 소양강을 이루고, 남으로 흘러 경기 가평현에 이르며, 동으로는 안판탄(安板灘)[안반여흘]을 이루고, 양근군 북쪽에서 입석진(立石津)[션돌], 서로는 용진(龍津)이 되는데, 사포(蛇浦)에서 합쳐 광주 경계 도미진(渡迷津)[두미]이 되고, 광진(廣津)[광ㄴ.ㄹ.], 삼전도(三田渡)[삼받개]를 이룬다”고 했다. 이를 볼 때 ‘소양’이라는 이름도 조선 이전부터 일컫던 말임을 알 수 있다.

‘우수주’가 ‘쇠ㅁ.ㄹ.’이듯이, ‘소양강’이 ‘쇠ㄱ.ㄹ.ㅁ’을 뜻하는 말임을 알 수 있는데, 이 때의 ‘쇠’는 ‘동쪽’을 뜻하는 ‘새’에서 비롯된 형태다. 새벽에 밝게 빛나는 별을 ‘샛별’, 동풍을 ‘샛바람’이라 하듯이, ‘새’는 동쪽을 뜻하며 ‘밝음’을 상징한다. 한자 ‘소’(昭)는 ‘밝음’을, ‘양’(陽)은 ‘볕’을 뜻하니 토박이말과 한자말의 대응 관계가 더 잘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9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58
378 꽝꽝나무 바람의종 2008.06.14 6534
377 망오지·강아지 바람의종 2008.06.13 8446
376 짝태 바람의종 2008.06.13 8093
375 좋게 말하기 바람의종 2008.06.12 8279
374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50
373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42
372 다믈사리·막생 바람의종 2008.06.11 8065
371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7979
370 아들아, 딸아? 바람의종 2008.06.09 4878
»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297
368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27
367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28
366 사탕·기름사탕 바람의종 2008.06.07 8737
365 글틀 바람의종 2008.06.05 6213
364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87
363 동자꽃 바람의종 2008.06.04 6753
362 돈자리·행표 바람의종 2008.06.04 6755
361 새해 인사 바람의종 2008.06.03 6587
360 혈구군과 갑비고차 바람의종 2008.06.03 8912
359 처녀치마 바람의종 2008.06.02 6845
358 크리스마스나무 바람의종 2008.06.02 10181
357 차별② 바람의종 2008.05.31 63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