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8 14:12

푸석수염

조회 수 795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푸석수염

북녘말

남북은 ‘겨레말 큰사전’ 편찬에 쓸 새말을 조사하고 있다. 새말이란 최근 들어 만든 말(신어)을 가리킨다. 겨레말큰사전 편찬에서는 국어사전에 미처 실리지 못한 말(미등재어)도 새말에 포함한다. 새말 조사는 2006년부터 시작됐고, 공동 편찬 회의에서는 지금까지 5차에 걸쳐 5000여 새말이 교환됐다. 북녘에서 나온 새말 가운데 ‘푸석수염’이 있다.

“광대뼈가 두드러진 아래로 길쭉하니 내리패인 호물때기 볼에 한도리 감아붙인것 같은 구레나루와 입술이 푹 파묻힌 푸석수염에는 잔고드름들이 그득 매달렸다.”(류근순 <병기창에서>, <조선문학> 1968년 2-3호)

푸석수염은 ‘푸석푸석하게 자란 수염’이다. 이는 ‘푸석푸석한 피부에 거칠게 난 수염 혹은 수염 자체가 푸석푸석한 것’ 등을 함께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푸석’과 관련된 말로 ‘푸석돌·푸석살·푸석이·푸석흙’ 등이 있다. 모두 ‘푸석푸석한 무엇’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북녘에서는 ‘푸석돌’과 같은 뜻의 ‘퍼석돌’도 쓴다. ‘푸석이’는 북녘에서 ‘푸서기’로 쓰고, 물건과 사람을 모두 가리킨다. 곧 ‘부서지기 쉬운 물건’, ‘옹골차지 못한 사람’을 이른다. ‘푸석흙’은 ‘경조토’(輕燥土)를 다듬은 말로 보인다.

‘푸석푸석하다’와 ‘퍼석퍼석하다’는 비슷한 뜻인데, ‘퍼석퍼석하다’는 ‘원래 물기가 좀 있다가 없어진 상태’에 쓰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사과가 퍼석퍼석하다”, “무가 오래되어 퍼석퍼석하고 맛이 없다” 등에서 ‘푸석푸석하다’를 대신 쓰면 좀 어색하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0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5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527
2534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462
2533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8814
2532 '매우''아주''몹시' 바람의종 2008.05.01 7772
2531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705
2530 떡값 바람의종 2008.05.03 6794
2529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655
2528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70
2527 금덩이·은덩이 바람의종 2008.05.05 10558
2526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953
2525 소와리골 바람의종 2008.05.06 7134
2524 보도자료 바람의종 2008.05.06 4357
2523 겹말을 피하자(上) 바람의종 2008.05.06 6134
» 푸석수염 바람의종 2008.05.08 7952
2521 쑥돌·감돌·몽돌 바람의종 2008.05.08 10867
2520 겹말을 피하자(中) 바람의종 2008.05.08 5279
2519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475
2518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618
2517 겹말을 피하자(下) 바람의종 2008.05.10 6159
2516 연설 바람의종 2008.05.11 6779
2515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5960
2514 세금과 요금 바람의종 2008.05.11 5481
2513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2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