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3 17:04

실레마을과 시루

조회 수 764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실레마을과 시루

땅이름

김유정이 태어난 마을 이름은 실레마을이다. 한자어로는 ‘증리’(甑里)라 하니 이는 곧 떡을 찌는 ‘시루’를 뜻한다. 김유정은 “춘천읍에서 한 이십리 가량 산을 끼고 꼬불꼬불 돌아 들어가면 내닫는 조그만 마을”로 “앞뒤 좌우에 굵직굵직한 산들이 빽 둘러섰고 그 속에 묻힌 아득한 마을로 그 산에 묻힌 모양이 마치 옴팍한 떡시루 같다 하여 동명을 실레라 부른다”라고 묘사하였다.

땅이름 가운데는 땅의 모양에서 생겨난 것들이 많다. 실레마을이 시루를 닮은 데서 비롯된 것처럼 시루를 닮은 산을 ‘시루뫼’ 또는 ‘증봉’, ‘증산’이라고 부른다. ‘시루봉’은 분지를 이룬 마을에서는 비교적 자주 발견되며, 시루의 방언인 ‘시리’, ‘실리’, ‘실기’, ‘슬구’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시루의 겉모습이 둥긋한 데 비해 시루의 안쪽은 옴팍하게 파여 있으니, 김유정의 고향 마을처럼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을 ‘실레’라 하는 것도 자연스럽다.

“집이라야 대개 쓰러질 듯한 헌 초가요, 그나마도 오십 호밖에 못 되는 빈약한 촌” 마을인 실레마을에서 “주위가 이렇게 시적이니만치 그들의 생활도 어디인가 시적이고 어수룩하고 꾸밈이 없다”는 김유정의 <봄봄> 마을.

땅이름은 사람이 붙인 것이지만, 사람들은 다시 그 이름을 닮아가며 살아간다. 생강나무를 동백꽃이라 하고, 지주와 빚쟁이들이 무서워 제 논의 벼를 수확하지 못한 채 몰래 베어 먹어야 하는 동생을 위해 밤새 도둑을 지키는 형을 ‘만무방’(염치없이 막돼먹은 사람)이라 부르는 순박함이 실레마을 사람들의 이야기였음을 김유정의 작품에서 읽어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14
312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671
3127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842
3126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484
3125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358
3124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7964
3123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135
3122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06
3121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630
3120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28
3119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070
3118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756
3117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526
3116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029
3115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568
3114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684
3113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357
3112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02
3111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086
3110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669
3109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285
3108 갑질 風文 2024.03.27 1380
3107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8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