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1 13:51

다정큼나무

조회 수 8831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정큼나무
 




 


‘다정큼나무’는 이름이 정말 정겨운데, 뭐가 그리 다정한 것일까? 바닷가 따뜻한 곳에서 늦여름에 하얀 꽃이 오밀조밀 모여 피는 모습이나, 가을에 까만 열매가 옹기종기 열린 모습을 보면, 한 가지에서 다정하게 꽃을 피우다 여러 열매를 맺는 까닭에 붙은 이름인 듯하다. ‘다정큼나무’라면 ‘다정’과 ‘큼’이 합쳐서 ‘다정하게 크는 나무’라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겠다. 많은 이들이 둥그스럼하고 윤기 나는 잎, 붙임성 있어 보이는 꽃, 많이 맺는 열매에서 전체적으로 정다운 느낌을 받는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집안으로 끌어들여 울타리 나무로 삼거나 담장 밑에 흔히 심었다. 나무 껍질은 비단실을 쪽빛으로 염색하는 데 써서 ‘쪽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람이 살면서 다정하기는 아주 쉬운 것도 같고 무척 어려운 것도 같다. 어찌 보면 다정한 품성을 배우고 실천하는 것이 제대로 된 삶이어야 할 법한데, ‘인간에 대한 예의’마저 굳이 들먹이게 만드는 척박한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다른 사람에게 필요 이상 정을 주거나 베풀면 결국 바보 같고 손해 보는 느낌을 우리 사회가 너무 많이 겪게 해준 것은 아닌지 …. 그런 풍토가 무색해지도록 부디 ‘다정큼사람’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9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17
334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15
333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85
332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192
331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197
330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439
32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1151
328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721
327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479
326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04
325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234
324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371
323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530
322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266
321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428
320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523
319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195
318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545
317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149
316 띄어쓰기 특례 風文 2022.01.11 1764
315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572
314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446
313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3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