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9 02:02

금산과 진내을

조회 수 685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금산과 진내을

금산은 본래 백제의 진내을군(進乃乙郡)이었다. 이 이름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뒤 경덕왕 때 진례군으로 고쳐 불렀다. 금산은 노령산맥과 소백산맥이 만나는 곳에 이뤄진 산지로, 금강이 굽이져 흐르는 명승지이자 인삼 재배지로 유명한 곳이다. 금산은 ‘경양’ 또는 ‘금계’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진내을’이 ‘금계’로 불린 까닭은 ‘진’이 무엇을 뜻하는 말인지는 덮어두더라도 ‘내을’이 ‘시내’를 뜻하는 ‘내’이기 때문인 것은 쉬 짐작할 수 있다.

구한말 채헌식의 문집인 <후담문집>의 ‘소계정기’에는 “대저 시내라는 것은 강과 물의 원류로, 그것을 사랑하여 취하는 사람이 많으니, 옛날 사람들이 이른바로 초계(苕溪) 삽계(?溪) 섬계(剡溪)는 은사들의 휴식처이며, 우계(愚溪), 원화계(院花溪)는 문장의 주제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는 구절이 나온다. 초계는 갈대가 무성한 시내이며, 삽계는 가랑비처럼 흐르는 시내, 섬계는 좁게 굽이져 흐르는 시내, 우계는 밋밋하게 흐르는 시내다. 또한 원화계는 끊이지 않고 흐르는 시냇물이니 ‘진내을’의 ‘진’은 ‘긴 냇물’이 변한 ‘진 냇물’인 셈이다.

금산의 역사를 살피건대 석기시대 유물도 나오지만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 조헌, 그리고 이치 전투 등과 같이 우리 겨레의 끈기가 묻어나는 인물과 일들이 매우 많다. 후담 선생이 여러 종류의 시냇물이 은사들을 반길 만한 조건을 갖춘 것으로 표현했듯이, 고고한 선비 정신과 민족의 끈기 있는 삶의 모습이 금계 곧 진내을 속에 담겨 있음이 틀림없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8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49
3150 좌익 바람의종 2007.08.20 6623
3149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9984
3148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801
3147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036
3146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638
3145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020
3144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503
3143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649
3142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5949
3141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730
3140 청신호 바람의종 2007.08.30 7664
3139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646
3138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175
3137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220
3136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908
3135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215
3134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352
3133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374
3132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0958
3131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8897
3130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12
3129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7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