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9 02:02

쑥부쟁이

조회 수 733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쑥부쟁이
 



 


가을 꽃으로 흔히 ‘국화’를 떠올린다. 하지만 국화과의 꽃은 세계에서 2만종이 넘고, 우리나라 산과 들에도 흔히 들국화라 부르는 구절초·감국·산국·개미취·쑥부쟁이 등 수많은 종의 국화가 있다. 요즘 곳곳의 수목원에서 들국화 잔치를 연다고 한다. ‘쑥부쟁이’는 제주 고장말로도 ‘드릇국화’라고도 하듯이, 가을에 산과 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연보랏빛 풀꽃이다.

쑥부쟁이는 꽃모습보다 전설이 더 유명하다. 옛날 충청도에 가난한 대장장이 가족이 살았는데, 너무 가난하여 큰딸이 쑥을 캐어 많은 식구들이 먹고 살았다. 쑥부쟁이는 ‘쑥을 캐는 불쟁이의 딸’에서 온 말이라고 한다. 대장장이는 곧 ‘불쟁이’이고, ‘ㄹ’이 탈락하여 ‘부쟁이’가 된다. 그 부쟁이의 딸이 한양에 간 사랑하는 이를 기다리다 숨진 곳에 난 꽃이 쑥부쟁이라고 한다. 유난히 목이 길어 누구를 애타게 기다리는 모습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같은 국화로 이르지만 황실의 화려한 금빛 국화로도, 비바람에 흔들리는 한 송이 작은 들꽃으로도 살 수 있는 것이 세상사라는 것을 쑥부쟁이를 보면서 새삼 느끼게 된다. 꽃의 마음으로는 어떤 삶이 더 좋을까.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8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802
3149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535
314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457
3147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09
3146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46
3145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097
3144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596
314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355
3142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145
3141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023
3140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38
3139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383
313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770
3137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133
3136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256
3135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567
3134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336
313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376
3132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566
3131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341
3130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04
3129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