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8 14:19

일터 말

조회 수 963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일터 말

집안을 넘어서면 일터와 일자리와 일벗이 있다. 사회를 꾸리는 온갖 동아리가 여기 든다. 예나 오늘이나, 개인·경영자, 대선후보랄 것 없이 일자리 만들기를 첫손으로 꼽는데, 집안·사원·백성을 먹여 살리는 일인 까닭이다. 일자리·일터·일벗과 거래하는 이가 ‘손님’이다. 손님은 호칭·지칭 두루 쓰는 말이고, ‘고객’은 지칭일 뿐인데, 거기다 ‘님’을 붙여 부른다. ‘님’은 아무 말에나 붙어서도 그를 높이는 구실을 하는 부닥방망이와 같다.

일터 말은 비교적 쉽다. 직책·직위·이름을 부르면 되는 까닭이다. 일본 등 직책·직위만 생짜로 부르는 쪽도 있는데, 우리완 맞지 않아서 기분이 껄끄러워지고 정나미가 떨어진다. 일터에서 위아래를 가리지 않고 성명·직책·직위에 ‘님’을 붙여 부르는 게 자연스럽고 편하다. 아랫사람에겐 ‘님’자를 꺼리지만, 인색해야 할 아무 까닭이 없다. 다만 ‘성+씨’, ‘이름+직책·직위+님’은 어울리지 않는다.

같은 분야에서 나이·지위·역량 따위가 앞선 이를 ‘선배’라 부른다. 격식을 깨뜨리지 않으면서도 정답고 편한 느낌을 준다. ‘동지’는 이념이 실린 말로서 부를 때는 동급 이하에 쓰이며, ‘동무’(벗)는 걸림말이지만 북녘에서는 부름말로도 쓴다. 두루 주로 ‘성’과 어울린다.

일터에서 이제 ‘미스·미스터’는 우스개가 된 듯하고, 오히려 집안말 아씨·언니·형이 어울릴 때가 있다. ‘씨·군·양’은 ‘하게체’ 상대를 부를 때 어울린다. 호칭은 부르고 듣기에 편하면 된다. 지나치거나 모자라면 껄끄럽게 되고, 껄끄러우면 뜻이 잘 통하지 않는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8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3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42
3150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37
3149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638
3148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641
3147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641
3146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642
3145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644
3144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652
3143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652
3142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657
3141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662
3140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663
3139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664
3138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666
3137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667
3136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669
3135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670
3134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673
3133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675
3132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677
3131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678
3130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679
3129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6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