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10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마미지’와 ‘강진’

‘고마미지’(古馬彌知)는 전남 강진의 옛 이름이다. <난중일기>에 나타나는 ‘구미’가 ‘곶’과 같은 의미를 지녔음을 밝힌 바 있듯이, ‘고마미지’는 ‘구미’의 어원에 해당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고마미지’ 이외에도 ‘송미지’(松彌知), ‘무동미지’(武冬彌知)가 더 나타난다. 최남선이 서문을 쓴 <동경통지>(東京通志)>에, ‘미지’는 바다의 물굽이가 처진 읍(灣邑)을 일컫는다고 하였다. ‘송미지’는 지금의 전북 고창이며, ‘무동미지’는 비안 북부(庇安北部·전북 군산)인데 ‘단밀현’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또한 고려 공양왕 때 지금의 경남 통영을 ‘고성’이라 부른 적이 있다. 이 고성의 옛이름이 ‘고자미동’(古資彌冬)이다. ‘미지’의 옛 발음이 ‘미디’였음을 고려한다면, ‘미디’와 ‘미동’은 중국 한자음을 표기하는 과정에서 달라진 형태의 말임이 틀림없다. ‘미지’는 간혹 ‘미치’로 읽히기도 하였다. <동경통지>에서는 ‘고자미동’의 ‘고자’는 ‘구지’로 바뀔 수 있으며, ‘구지’는 ‘반도’(半島)의 뜻을 갖는다고 풀이하였다.

이를 고려할 때 ‘구지’, ‘구미’, ‘미지’, ‘미치’ 등은 모두 중국 한자음이 전래되는 과정에서 우리의 토박이말 ‘곶’을 다양하게 표기한 것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전혀 무관해 보이는 말들이 어원적으로 깊은 관련이 있음을 땅이름에서 찾아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160
3150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339
3149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342
3148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344
3147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347
3146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347
3145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349
3144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352
3143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353
3142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356
3141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359
3140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360
3139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361
3138 지슬 風文 2020.04.29 1364
3137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366
3136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366
3135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367
3134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369
3133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371
3132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374
3131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378
3130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380
3129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3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