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5 00:50

구미와 곶

조회 수 738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미와 곶

<표준국어대사전>에, ‘곶’은 ‘바다로 뻗어나온 모양을 한 곳’이라고 풀이돼 있다. 그렇다면 ‘곶’은 해안에만 있는 땅이름처럼 보이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갈곶·갈고지·돌곶·돌고지’ 등은 바닷가가 아닌 곳에서도 흔히 보이는데, 두루 ‘곶’이 들어 있다.

우리말에서 ‘곶’은 ‘구무[굼]’와 마찬가지로 ‘움푹 파인 곳’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이는 바닷가뿐만 아니라 내륙에서 움푹 파여 배를 대기 편한 곳에 ‘곶’을 붙인 데서도 알 수 있다. ‘곶’은 ‘고시’(古尸), ‘고자’(古自), ‘고차’(古次), ‘홀차’(忽次) 등으로 쓰였다. 백제 때 전남 장성군은 ‘고시리’(古尸伊)였으며, 신라 때 경남 고성군은 ‘고자미동국’(古資彌東國), 경기 안산은 ‘고사야홀차’(古斯也忽次)였다. ‘홀차’가 ‘구’(口)로 바뀌기도 하는데, ‘고사야홀차’는 ‘장항구’(獐項口)로, ‘요은홀차’(要隱忽次)는 ‘양구’(楊口)로 바뀌었다.

‘곶’은 다른 꼴로 나타나기도 한다. ‘고지’와 ‘구지’는 ‘곶’에 ‘이’가 붙어 된 말이며, 첫소리를 된소리로 내면 ‘꾸지’가 된다. 여수 지역의 ‘송고지·숫구지·일중구지·문꾸지’ 등은 ‘곶’의 이형태가 붙은 땅이름이다. 여기선 ‘곶’ 대신 ‘구미’가 붙은 곳도 제법 발견된다. ‘망구미·온구미’의 ‘구미’도 ‘곶’의 이형태들이다. <난중일기>에 보이는 ‘군영구미·이진구미’ 등도 마찬가지다. 이 말은 ‘굽다’의 이름꼴인 ‘구비’가 ‘구지’에 이어져 생긴 꼴이다. 이 또한 ‘곶’이 ‘구무’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9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6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442
3194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551
3193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52
3192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553
3191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553
3190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56
3189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557
3188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561
3187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562
3186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563
3185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563
3184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65
3183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570
3182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575
3181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577
3180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579
3179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581
3178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581
3177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583
3176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587
3175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88
3174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588
3173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5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