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36

쐐기풀

조회 수 670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쐐기풀

‘쐐기’는 풀, 벌레, 물건 이름으로 두루 쓰인다. ‘쐐기풀’은 주로 숲 가장자리에 많이 자라서 시골에서 자란 사람이면 흔히 따끔하게 스쳐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잎이 톱니 모양에다 포기 전체에 가시털이 나 있다. 가시에는 개미산(포름산)이 들어 있어 찔리면 쐐기한테 쏘인 것처럼 아프다. 그런데 독은 독을 이기는 법인지, 쐐기풀은 뱀독 해독제로도 쓰였다. ‘쐐기풀’은 모양과 감각이 두루 반영된 이름이다. ‘쐐기벌레’는 쐐기나방 애벌레로, 몸에 뾰족한 독침이 있어 따갑게 쏘기에 붙여진 이름일 터이다.

‘쐐기’는 물건을 고정시키거나 쪼갤 때 쓰는 쐐기(V)꼴 물건이다. 세계 글자 역사에서는 대체로 현존하는 최고의 문자로 기원전 4000년께 썼다는 메소포타미아의 쐐기문자를 든다. 진흙판에 글자를 새기기 때문에 쐐기같이 뾰족한 도구로, 진흙이 일어나지 않게 쐐기 모양으로 쓸 수밖에 없었는데, 당시 제일 훌륭한 신랑감은 의사도 판사도 아닌 ‘필경사’였다고 한다. 글자를 쓸 수 있는 사람이 지식과 권력의 최상층부인 시대도 있었는데, 최근 20년 사이 없어진 직업이 ‘필경사’와 ‘타자수’라는 얘기는 흥미롭다. ‘서예’는 말 그대로 미술 영역이 되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5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0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039
3194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585
3193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589
3192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589
3191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590
3190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591
3189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593
3188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594
3187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594
3186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595
3185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600
3184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600
3183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601
3182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610
3181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613
3180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615
317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617
3178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619
3177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619
3176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620
3175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621
3174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621
3173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6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