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8 01:47

조회 수 680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집’은 사는 집, 가족이란 뜻에다, 지아비·지어미(집아비·집어미)처럼 부부, 집사람·안사람처럼 아내를 일컫는 말을 만들기도 한다. 어떤 집안이나 그 집 사람을 부르는 말에 택호·가호가 있다. 흔히 안주인의 친정 마을 이름을 따 ○○댁·○○양반처럼 안·바깥 주인을 일컫고 불렀다. 삼대가 사는 집이라면 택호만도 셋은 된다. ‘마실댁·싹실댁·한들댁’이 그런데, 새댁·새사람 시절을 지나야 택호가 붙는다. 나아가 월남댁·태국댁·연변댁·새터댁 …으로도 부를 만한데, 공동체나 두레가 사라지고 아파트살이, 맞벌이 부부가 많아진 요즘엔 마냥 사람 이름이나 멋없는 직업·직책 이름만 나돈다.

‘집안’이 곧 가문인데, 이를 이르는 말이 숱하다. 본디 자신이 놓인 처지 따라 쓸 말이 달라지는 까닭에 생긴 이름들이다.

본집, 작은집, 큰집, 친정집, 시집·시갓집, 사돈집/사가, 처갓집/가시집, 외갓집, 고모집, 이모집들이 그것이다. 집은 무리(黨)를 이루므로 본당·친당·모당·시당·처당·척당·취객당으로 일컫기도 한다. 여기서 척당(戚黨)은 성이 다른 가까운 핏줄을 이른다. 척당·척속에는 모당, 곧 외갓집·이모집은 물론 고모집과 진외가·증외가(할머니 쪽 친정)처럼 외척·내척을 싸잡는 까닭에 무리가 많게 된다. ‘사돈의 팔촌’이란 따지고 보면 남이 없다는 얘긴데, 전날 무척 번성한 집안이어도 두루 삼백을, 요즘엔 백 사람을 넘기기도 어렵다. 친척이라면 같은 성 곧 일가(친)와 성이 다른 피붙이(척)를 아우르고, 인척(姻戚)은 혼인으로 맺은 사람들을 가리킨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5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34
3194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546
3193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547
3192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549
3191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549
3190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50
3189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550
3188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52
3187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552
3186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554
3185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556
3184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56
3183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557
3182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557
3181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564
3180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567
3179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574
3178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575
3177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576
3176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578
3175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580
3174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581
3173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5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