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5 14:51

가시집

조회 수 780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시집

'가시집’은 ‘아내의 집’, ‘처가’를 일컫는다. 북녘에서는 ‘가시집’이 처가와 같은 말이고, 한자말인 처가보다는 고유어인 가시집을 쓰도록 권장하고 있다. 반면 남녘에서 ‘가시집’은 ‘처가를 낮잡아 이르는 말’이라 여기고, 일상적으로 잘 쓰이지도 않는다. 남녘에서 잘 쓰이지 않는 까닭은 ‘낮춤’의 뜻이 연상되기 때문일 것이다.

가시집에서 ‘낮춤’의 느낌은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 아마도 ‘가시내, 가시나’의 영향으로 보인다. ‘가시’에서 ‘가시내’가 연상되기 때문일 것이다. ‘가시’는 조선 초에도 쓰이던 말로 ‘아내’를 뜻한다. “처(妻)는 가시라”와 같이 본디는 명사였지만 점차 쓰임이 줄어들어 이제는 앞가지로 쓰인다. 가시집을 ‘처가의 낮은 말’로 본 것은〈큰사전〉(1947년)에서 비롯되었다. 그런데〈조선말 사전〉(1960년)에서 ‘처가를 속되게 이르는 말’로 풀이했다가〈현대조선말사전〉(제2판·1981년)에서는 ‘안해의 친정집’으로 풀이하고 있다. 그사이 북녘에서 인식이 바뀌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안해’는 ‘아내’의 옛말이면서 북녘에서는 ‘문화어’(표준말)로 쓰인다.

‘가시-’가 들어간 남북 지역어를 보면, 중부를 제외한 북부와 남부 지역에서 두루 확인된다. 이런 상황에서 북녘 사전에 ‘가시아버지, 가시어머니’가 있는데 남녘 사전에 없는 것은 ‘가시-’에 대한 남북의 인식 차이를 보여준다.

상황에 따라 ‘가시내, 가시나’도 ‘낮춤’의 뜻 없이 쓰이기도 하므로, 앞가지 ‘가시-’를 살려 써 보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3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638
2666 은방울꽃 바람의종 2008.03.12 7275
2665 부름말과 지칭 바람의종 2008.03.12 10823
2664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595
2663 일본식 용어 - ㅈ 바람의종 2008.03.13 8659
2662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835
2661 드셔 보세요 바람의종 2008.03.13 7563
2660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10069
2659 일본식 용어 - ㅊ 바람의종 2008.03.14 9107
2658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267
2657 발르세요? 바람의종 2008.03.14 7338
2656 일본식 용어 - ㅌ ~ ㅎ : "政治는 일본식 우리식은 政事" - 김성동 / 소설가 바람의종 2008.03.15 13261
2655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447
2654 전농동과 설렁탕 바람의종 2008.03.15 9008
»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802
2652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8056
2651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8220
2650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702
2649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864
2648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3.16 5603
2647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447
2646 빌레와 바위 바람의종 2008.03.18 7197
2645 바람의종 2008.03.18 68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