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7 11:56

넋살탕

조회 수 917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넋살탕

‘넋이 나갈 정도의 호된 골탕’을 ‘넋살탕’이라 한다. 넋살탕이라는 말은 ‘넋살’과 골탕의 ‘탕’이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넋살탕은 ‘먹다’와 함께 관용구 ‘넋살탕을 먹다’로 쓰인다. ‘넋살탕을 먹다’는 ‘넋살을 먹다’, ‘넋을 먹다’로 써도 비슷한 뜻이 된다. 모두 ‘호되게 당하여 겁을 먹다’의 뜻이다.

“맹사격에 행군의 일선에 섰던 적 토벌대들이 넋살탕을 먹고있었다.”(조선말대사전)
“우리의 명중사격에 넋살을 먹은 적들은 (…) 내빼기 시작하였다.”(조선말대사전)

넋은 정신적인 것이므로 보통 ‘나가다’와 같이 안에서 밖으로의 이동을 뜻하는 동사와 함께 쓰인다. 그런데 ‘먹다’는 밖에서 안으로의 이동을 뜻하므로 정신이 위축되는 것, 곧 ‘겁을 먹다’의 뜻이 되었다. ‘넋’을 ‘놓다, 뽑다, 잃다, 나가다, 빠지다’와 함께 쓰면 ‘정신이 나가다’의 뜻이 되고, 넋살을 ‘내다’와 함께 쓰면 ‘몹시 혼나게 하다’, 넋살을 ‘나다, 떨어지다’와 함께 쓰면 ‘몹시 혼나다’의 뜻이 된다. 여기서 ‘혼나다’는 ‘넋이 나갈 만큼 놀란 상황이다’, ‘넋이 나갈 만큼 시련을 당하다’는 뜻이다. ‘혼나다’는 ‘혼이 나간다’, ‘넋이 나간다’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혼나다’는 넋살과 관련 없이 ‘꾸지람을 듣다’의 뜻으로도 쓰이는데, 그 연유는 그런 상황이 되면 결과적으로 ‘넋이 나가게’ 되기 때문일 것이다. 넋살은 〈조선말대사전〉에서 ‘넋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풀이했고,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넋의 잘못’으로 풀이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6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655
24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631
245 상극 바람의종 2007.07.20 6235
244 삼우제 바람의종 2007.07.20 10743
243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426
242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96
241 사족 바람의종 2007.07.18 6355
240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37
239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495
238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897
237 불야성 바람의종 2007.07.16 6323
236 복불복 바람의종 2007.07.16 8017
235 복마전 바람의종 2007.07.14 6326
234 보필 바람의종 2007.07.14 7224
233 보모 바람의종 2007.07.13 7101
232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46
231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473
230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243
229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25
228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200
227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17
226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424
225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1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