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9 07:17

새라새롭다

조회 수 944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라새롭다

‘새라새롭다’는 ‘새롭고 새롭다’ 혹은 ‘여러 가지로 새롭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다.

“강세호는 새라새로운 소식을 주어 대는 두칠의 말에 얼떨떨했다.”(415 문학창작단 ‘백두산 기슭’) “그가 전혀 알지 못하던 새라새로운 세계가 펼쳐졌다.”(조선말대사전)

뜻풀이에서도 짐작이 되지만 ‘새라새롭다’는 ‘새롭다’와 ‘새롭다’가 결합된 말이다. 앞에 결합된 ‘새롭-’이 ‘새라’로 변했다. 이렇게 말이 반복된 말로 ‘가늘디가늘다, 높디높다, 쓰디쓰다’ 들이 있는데, 이 방식을 ‘새롭다’에 적용해 보면 ‘새롭디새롭다’가 된다. ‘새라새롭다’와 같은 방식은 그리 익숙하지는 않지만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낱말의 음절 수가 많아지면 쓰기에 불편하기 때문이다. ‘새롭다’의 반복이 ‘새롭 새롭다’나 ‘새로새롭다’로 되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새롭새롭다’는 발음의 불편함, ‘새로새롭다’는 부사 ‘새로’가 연상되는 문제 등이 아니었을까 짐작해 본다.

말을 반복해서 쓰는 것은 ‘빨리빨리’와 같이 어찌말에서 더 활발한데, 그림씨에서도 어간 반복을 널리 쓴다면, 토박이말 그림씨의 조어력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새라새롭다’의 방식은 ‘-롭다’로 끝나는 형용사를 활용하는 데 유용하다. ‘새롭다’와 비슷한 짜임을 가진 말로 ‘괴롭다·외롭다·의롭다·이롭다’ 등이 있다. 이들 말을 반복하여 새말로 만들어서 ‘괴라괴롭다, 외라외롭다’ 식으로 써 보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4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30
3216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260
3215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263
3214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264
3213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264
3212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65
3211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266
3210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269
3209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269
3208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269
3207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270
3206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270
3205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272
3204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272
3203 ‘이’와 ‘히’ 風文 2023.05.26 1273
3202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274
32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277
3200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277
3199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278
3198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280
3197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282
319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282
3195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2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