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8 00:41

빛깔말

조회 수 7159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빛깔말

언어학자 밸린과 케이는 빛깔말 또는 색채어를 연구한 사람들로 유명하다. 이 두 사람은 90여 가지 세계 언어에서 빛깔말을 수집하였으며,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300여 가지 빛깔을 제시하고 이를 분류하는 실험을 하였다. 그들은 이 실험의 결과에 따라 11가지 기본 빛깔을 설정하였으며, 사람들의 색깔에 대한 반응도 일정한 순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들의 연구 결과 사람들은 ‘흰색’과 ‘검은색’에 대한 반응이 가장 빠르며, 그 다음으로는 ‘붉은색’, ‘푸른색과 노란색’, ‘갈색’ 등의 차례로 이어진다.

이런 경향은 땅이름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땅이름에서 ‘흰색’과 ‘검은색’을 포함하는 말을 가장 많이 찾아낼 수 있으며, 그 다음이 ‘붉은색’이다. ‘흰색’을 포함한 땅이름은 한자어 ‘백’(白)이 들어 있는 산이름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거문리’나 ‘어둔리’라는 땅이름도 흔히 쓰이는 땅이름이다. ‘붉은색’을 포함하는 땅이름도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다. 용비어천가의 ‘적도’(赤島)(제5장)는 경흥부 남쪽 70리에 있는 섬인데, 그 모양이 거북이가 엎드린 것과 같으며, 사방 바위가 모두 붉은색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이처럼 빛깔을 포함한 땅이름은 그 지역의 토양이나 산수의 모습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붉은뱅이’는 홍천군 속초리의 작은 마을 이름이다. 토질이 붉고 언덕진 곳이어서 붙은 이름인데, ‘봉’의 음이 변해서 ‘뱅이’가 됨으로써 낯선 이름처럼 들린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03
24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630
245 상극 바람의종 2007.07.20 6235
244 삼우제 바람의종 2007.07.20 10737
243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426
242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94
241 사족 바람의종 2007.07.18 6355
240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32
239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495
238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892
237 불야성 바람의종 2007.07.16 6319
236 복불복 바람의종 2007.07.16 8017
235 복마전 바람의종 2007.07.14 6326
234 보필 바람의종 2007.07.14 7224
233 보모 바람의종 2007.07.13 7101
232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46
231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468
230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243
229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25
228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194
227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15
226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424
225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1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