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2 20:37

큰 바위

조회 수 805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큰 바위

미국의 소설가 너새니얼 호손의 <큰 바위 얼굴>은 산골짜기 어느 마을에 큰 바위 얼굴을 닮은 위인을 기다리며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소년과 마을 사람들이 기다리던 큰 바위 얼굴을 한 위인은 장군도 아니었고 시인도 아니었다. 오히려 그는 바위를 닮아 살아온 주인공 자신이었던 셈이다.

사람은 자신이 놓인 자연을 닮아가면서 살아간다. 경기도 두물머리(양수리) 사람들의 삶을 그린 시인 권대응은 “양수리 사람들은 강을 닮으며 살아간다”고 하였다. 땅이름도 자연의 한 부분으로 존재한다. <금강산 기행>을 쓴 이광수는 구름과 안개가 걷힌 금강산 비로봉에 지극히 평범한 덕을 지닌 ‘배바위’를 보고는 소설가다운 상상을 자연스럽게 펼쳐낸다. 배바위는 뱃사람들이 바위를 기준으로 삼아 배가 나아갈 방향을 정하는 바위라는 뜻이다. 만장봉두에 말없이 앉아 있다가 푸른 바닷길을 열어주니 얼마나 큰 덕을 쌓는 일인가. 성인도 미치지 못할까 두려워한 덕이지만 사람이라면 누구나 소망하는 평범한 덕이다.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큰 바위 이름은 모양이나 기능에서 비롯된 것들이 많다. 우뚝 선 모습의 ‘선바위’, 병풍처럼 펼쳐 있는 ‘병풍바위’, 칼날처럼 날카로운 ‘칼바위’ 등이 그러하다. 특히 강원 산간 마을에는 이런 이름이 더 많다. 이런 이름들에는 큰 바위 얼굴처럼 자연을 닮아가는 순박한 사람들의 소박한 삶이 배어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8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3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42
3238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506
3237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506
3236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507
3235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509
3234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509
3233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509
3232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510
3231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512
3230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13
3229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14
3228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514
3227 '-시키다’ 風文 2023.12.22 1515
3226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517
3225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519
3224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520
3223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522
3222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523
3221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523
3220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23
3219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524
3218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526
3217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5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