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8 16:46

라틴아메리카 언어

조회 수 971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라틴아메리카 언어

아메리카대륙의 북부인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영어가, 중부와 남부에서는 스페인말과 포르투갈말이 주로 쓰인다. 신대륙이 유럽에 알려지면서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이 땅에 들어왔기 때문이다. 이쪽 나라들 대부분은 스페인말이 국어로 쓰이지만, 브라질만은 포르투갈말이 국어다. 스페인말과 포르투갈말은 이탈리아말, 프랑스말, 루마니아말과 함께 라틴말겨레에 든다. 그래서 중부와 남부 아메리카를 라틴아메리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파라과이는 이웃 나라들이 모두 스페인말만 국어로 삼고 있는 것과는 달리 국어를 그들의 고유어인 ‘과라니말’과 스페인말 둘로 정해 쓴다. 파라과이라는 이름도 과라니말로 ‘큰물의 땅’이라는 뜻에서 왔다. 과라니말은 현재 삼백만 명 정도가 사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 모든 계층에서 활발히 쓰이는 남미의 가장 대표적인 토박이말(인디언말)이다. 또한 파라과이만 아니라 아르헨티나·볼리비아·브라질 일부에서도 쓰인다. 과라니말은 본디 투피말겨레에 드는데, 투피말겨레는 한때 남아메리카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흔히 주어, 목적어, 서술어가 문장 안에 놓이는 순서를 말차례라 한다. 그런데 목적어가 문장 맨 앞에 놓이는 언어는 이 세상에서 2퍼센트도 채 안 된다. 그런 말들이 아메리카 인디언말에 몇이 있다. 힉스카랴나말이 그러한데, ‘표범이 사람을 잡아챘다’를 뜻하는 문장을 보면, toto yahosiye kamara(사람-잡아챘다-표범)로서, 목적어인 toto(사람)가 맨 앞에 놓여 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1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9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601
323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586
3237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589
3236 순직 風文 2022.02.01 1590
3235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98
3234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599
3233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600
3232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601
3231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602
323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606
3229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606
3228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606
3227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608
3226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608
3225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609
3224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609
3223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610
3222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611
3221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611
3220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613
3219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613
3218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614
3217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6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