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3 03:18

가닥덕대

조회 수 767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닥덕대

지하철의 좌석 위쪽에는 물건을 얹을 수 있도록 쇠기둥 여럿으로 ‘가닥덕대’를 만들어 놓았다. 가닥덕대는 ‘여러 가닥의 막대기로 만든 덕대’를 말한다. 지하철의 가닥덕대를 보통 ‘지하철 선반’이라 이르는데, 이는 선반과 덕대를 구별하지 못한 데서 하는 말이다. 물건을 얹어 두고자 만든 구조물을 이르는 말로 ‘선반·시렁·덕대’가 있다. 남북에서 두루 쓰는 말이다. 선반과 시렁은 만든 재료로 구별된다. 널빤지처럼 면을 가진 재료로 만들면 선반이고, 막대기처럼 길쭉한 것 두 개를 재료로 만들면 시렁이다. 덕대는 ‘덕’으로도 쓰이는데 선반과 시렁을 아우르는 말이다.

예전 시골집 방이나 마루, 부엌에서는 시렁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집이 서양식으로 바뀜에 따라 시렁은 점차 익숙하지 않게 되었다. 지하철에 있는 덕대는 쇠기둥 여러 개로 되어 있어 시렁은 적절치 않다. ‘지하철 덕대’나 ‘지하철 가닥덕대’가 ‘지하철 선반’보다 정확한 표현이다.

“로인은 아래방 가닥덕대우에서 보자기에 싼 물건을 정하게 들어내리더니 밖에 나가 먼지를 깨끗이 털어가지고 품에 안고 들어섰다.”(장편소설 <그리운 조국산천>)

북녘말 ‘덩굴덕대’는 ‘덩굴 식물을 키우기 위해 만든 덕대’, ‘고기덕’은 ‘물고기를 말리기 위한 덕대’, ‘말림덕대’는 ‘물건을 말리기 위해 설치한 덕대’를 말한다.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된 ‘빨래 건조대’를 말림덕대라고 불러 보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62
3282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387
3281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917
3280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2290
3279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721
3278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824
3277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7161
3276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406
3275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385
3274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884
3273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896
3272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737
3271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8071
3270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7108
3269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610
3268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2215
3267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672
3266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497
3265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821
3264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594
3263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바람의종 2010.05.31 10853
3262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639
3261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8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