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3 03:16

라틴말의 후예

조회 수 712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라틴말의 후예

서양의 대표적인 고전어는 그리스말과 라틴말이다. 이 둘은 서양 문화의 중심이었던 그리스와 로마시대 말이어서 세계 문화에 끼친 영향이 매우 깊고 넓다.

로마제국은 이탈리아 반도 중부의 라티움이라는 작은 나라에서 일어나서 이탈리아 반도는 물론이고 남쪽으로는 아프리카 북부, 서쪽으로는 이베리아 반도, 동쪽으로는 아시아 서부까지 드넓은 영토를 차지한 큰 제국이 되었다. 기원전 3·4세기 이탈리아에는 여러 말들이 쓰였지만, 점차 작은 나라 라티움의 말이었던 라틴말이 로마제국의 언어로 통일되었다.

로마제국의 번창과 더불어 라틴말은 점점 확산되어 로마제국 영토 안의 모든 지역 사람들이 라틴말을 쓰게 되었다. 그러나 기원후 4세기쯤부터 로마제국이 무너지기 시작하면서 이른바 세계의 도시, 영원한 도시 로마는 그 중심 위치를 잃게 되었다. 그러자 각 지역은 지리적 조건으로 또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독립하게 되고, 쓰고 있던 라틴말은 이미 동일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각기 특유한 변화과정을 밟게 되었다. 이런 변화가 계속되자 10세기쯤에는 드디어 서로 다른 여러 말들로 갈라지게 되었다. 여기서 오늘날의 이탈리아말, 프랑스말, 스페인말, 포르투갈말, 루마니아말 등이 탄생하였다.

이 가운데 프랑스말은 오늘날 세계적인 외교언어로 발전하였으며, 스페인말은 숱한 중남미 나라의 공용어로, 포르투갈말은 브라질 등의 공용어가 되어 위세를 떨치고 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6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3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051
3282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416
3281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934
3280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2338
3279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764
3278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845
3277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7164
3276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422
3275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396
3274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914
3273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901
3272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748
3271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8078
3270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7133
3269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620
3268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2271
3267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695
3266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523
3265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835
3264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616
3263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바람의종 2010.05.31 10859
3262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641
3261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8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