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18:43

올림과 드림

조회 수 763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올림과 드림

요즘은 전화와 문자메시지 같은 전자말에 밀려서 글말 편지가 나날이 자리를 빼앗기는 판세다. 하지만 알뜰한 사실이나 간절한 마음이나 깊은 사연을 주고받으려면 아직도 글말 편지를 쓰지 않을 수가 없다. 글말 편지라 했으나 종이에 쓰고 봉투에 넣어서 우체국 신세까지 져야 하는 진짜 글말 편지는 갈수록 밀려나고, 컴퓨터로 써서 누리그물(인터넷)에 올리면 곧장 받을 수 있는 전자말 편지가 나날이 자리를 넓히고 있다. 이들 진짜 글말 편지든 전자말 편지든 이제 편지를 쓰면 너나없이 ‘올림’과 ‘드림’을 자주 쓴다. 올림은 받는 사람이 높은 자리에 있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고, 드림은 주는 것이 보잘것없어서 낮은 곳에 아무렇게나 슬쩍 들여놓는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받는 사람을 높이고 주는 이를 낮추는 뜻은 다를 바가 없지만 마음을 두는 곳이 서로 조금씩은 다른 셈이다.

글말 편지의 봉투 겉에 보내는 사람을 흔히 ‘아무개 올림’ 또는 ‘아무개 드림’이라 쓰고 봉투 속에 담긴 편지글 끝에도 마찬가지로 그렇게 쓴다. 봉투 겉에 쓰는 것은 봉투 속에 든 글을 하나의 물품으로 보고 그것을 올리거나 드리거나 한다는 뜻으로 쓰는 것이라 좋지만, 봉투 속에 든 글은 바로 말씀을 올리거나 드리는 것이므로 사정이 다르다. 말씀을 올리거나 드릴 적에 쓰는 우리말이라면 ‘사룀’과 ‘아룀’이 따로 있기 때문이다. 사뢰는 것은 속살과 속내를 풀어서 말씀드리는 것이고, 아뢰는 것은 모르시는 것을 알려 드리려고 말씀드리는 것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23
3282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414
3281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416
3280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418
3279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420
3278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421
3277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424
3276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426
3275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428
3274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429
3273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432
3272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33
3271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433
3270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34
3269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434
3268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435
3267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437
3266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437
3265 김 여사 風文 2023.05.31 1438
3264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438
3263 내일러 風文 2024.01.03 1438
3262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441
3261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4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