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02:11

별내와 비달홀

조회 수 896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별내와 비달홀

뜻이 같은 한자말과 토박이말이 합친 말이 많다. ‘역전앞’이나 ‘처가집’이 대표적인 경우다. 언어학자들은 같은 뜻을 합쳐 이룬 낱말은 말의 경제적인 차원에서 불합리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적절한 말이 아니라고 한다. 따라서 ‘역전’이나 ‘처가’로 써야 바른 표현이라고 한다.

그런데 한자말과 토박이말의 합성어가 전혀 새로운 말을 만들어낼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족발’은 ‘족’(足)이나 ‘발’만으로는 뜻을 전할 수 없다. 왜 그럴까? 그것은 비록 ‘족’과 ‘발’이 같은 뜻일지라도 두 말이 합치어 새로운 대상을 가리키는 말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옛말 가운데는 ‘별’과 ‘낭’이 그런 보기에 해당한다. 전남 승주군에 있었던 ‘별량(별애)부곡’이나 <삼국사기>에 보이는 ‘압록수 이북의 미수복 지역’ 땅이름인 ‘비달홀’(비탈골)에 들어 있는 ‘별애’와 ‘비탈’은 비스듬한 모양의 지형을 나타내는 말이었다.

우리 옛말에는 ‘별’과 ‘낭’은 비슷하지만 다른 뜻의 말이었다. <동국신속 삼강행실도>의 “ㅈ.식을 업고 낭의 떨어져 죽으니라”라는 구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낭’은 ‘절벽’을 뜻하며, <동동>의 “6월 보름에 별헤 ㅂ.룐 빗 다호라”에 나오는 ‘별’은 절벽보다는 덜 가파른 비스듬한 지역을 나타낸다. 이 두 말이 합쳐서 ‘벼랑’이라는 말이 된 것이다. 특히 ‘별’은 물을 뜻하는 ‘내’나 ‘고개’를 뜻하는 ‘재’와 어울려 땅이름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깅기 남양주의 ‘별내’나 강원 통천의 ‘별재’는 이런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7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3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12
3282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464
3281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465
3280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466
327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467
3278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468
3277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468
3276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469
3275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471
3274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72
3273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477
3272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477
3271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80
3270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82
3269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482
326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87
3267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487
3266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487
3265 김 여사 風文 2023.05.31 1488
3264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89
3263 지슬 風文 2020.04.29 1493
3262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493
3261 까치발 風文 2023.11.20 14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