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1 19:25

아시저녁·아시잠

조회 수 772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시저녁·아시잠

‘아시잠’은 ‘잠깐 드는 잠’이다. 이런 잠을 이르는 말로 ‘선잠·겉잠·어뜩잠’ 등이 있다.

“철민이 이제는 그만 하고 쉬라고 권했으나 어머니는 초저녁에 아시잠을 한숨 자고 났더니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하면서 그냥 일손을 놓지 않았다.”(변희근 <뜨거운 심장>)
“어뜩잠이 들어 꿈속을 헤매다가 깨여난 명옥은 눈을 번쩍 뜨고서 달빛이 환히 비쳐드는 방안을 어수선한 심정으로 두리두리 살폈다.”(장편소설 <태양의 아들>)

‘아시’는 남북 두루 쓰는 토박이말로 ‘처음’을 뜻한다. ‘애’로도 쓰는데, 둘 다 ‘처음’을 뜻하는 ‘아?’에서 왔다. ‘아시’는 ‘애초’와 ‘애벌’로 구분하여 풀이하기도 하나, 애벌은 ‘애+벌(횟수)’ 짜임으로 ‘첫 번’이란 뜻이고, 애초는 ‘애+초’(-初) 짜임으로 ‘맨 처음’을 뜻하므로, ‘처음’이란 풀이로 아우를 수 있겠다.

‘아시빨래·애빨래’는 ‘애벌빨래, 처음 하는 빨래’다. ‘아시갈이·애갈이’는 ‘논밭을 처음 가는 것’, ‘아시논·애논’은 ‘처음 김을 매는 논’이다. ‘아시당초·애당초’는 ‘당초’와 비슷한 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애당초’를 ‘애초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로 풀이했는데, ‘당초를 강조하는 말’로 보는 것이 옳겠다. ‘애초’에 ‘당(當)’이 곁들인 게 아니라 ‘당초’(當初)에 ‘애’가 결합했기 때문이다.

북녘말 ‘아시저녁’은 초저녁이고, ‘애저녁’으로도 쓴다. 이 ‘아시’는 ‘초가을·초어스름·초이튿날’ 등의 ‘초’ 자리에 쓸 수도 있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0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7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86
3282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492
3281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94
3280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495
3279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96
3278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98
3277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99
3276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499
3275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500
3274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500
3273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504
3272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507
3271 지슬 風文 2020.04.29 1508
3270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510
3269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16
3268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517
3267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18
3266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18
3265 내일러 風文 2024.01.03 1519
3264 까치발 風文 2023.11.20 1520
3263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521
3262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523
3261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5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