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8 15:02

마니산과 머리

조회 수 887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니산과 머리

신라의 시조 혁거세는 ‘거서간’이었다. ‘거서간’의 ‘간’은 ‘건길지’의 ‘건’과 마찬가지로 임금을 뜻하는 토박이말이다. 신라 제2대 임금인 남해는 ‘차차웅’이었으며, 3대 임금인 유리부터는 ‘니사금’(임금)이라 불렸다. 이러한 왕의 칭호가 눌지에 이르러서는 ‘마립간’이라 불린다.

‘마립간’을 두고 “김대문이 말하기를 방언의 말뚝(궐)이요, 궐은 사람의 지위에 따라 설치하는데, 왕의 궐은 중심에 배열하고, 신하의 궐은 아래에 배열한다”라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남아 있다. 그렇지만 ‘마립간’이 ‘말뚝’과 관련된다는 김대문의 주장은 토박이말 ‘머리’와 한자의 ‘말뚝’을 연상한 표현일 뿐이다. 왜냐하면 ‘마립간’의 ‘마립’은 ‘머리’를 뜻하는 토박이말인 까닭이다.

강화도 ‘마니산’은 본래 ‘마리산’이었다. ‘마리’는 머리를 뜻하는 토박이말로, 모음조화가 철저하게 지켜졌던 시대의 표기다. 이 말은 ‘마루’, ‘머리’로 소리가 조금 바뀐다. 한자 ‘宗’을 ‘마루 종’이라 읽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마리’의 음이 땅이름에서 ‘마라’나 ‘마이’ 또는 ‘마니’로 변한 경우는 진안의 ‘마이산’, 제주의 ‘마라도’가 있다. 비록 ‘마이산’(馬耳山)이나 ‘마라도’(滅島)에 들어 있는 한자의 뜻에 따라 ‘말의 귀를 닮은 산’이나 ‘파도에 갈리는 섬’처럼 풀이하기도 하나 두루 주변보다 두드러진 산과 섬이라고 할 수 있으니 ‘머리’에 해당한다. 현지 사람들이나 땅이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마니산 아닌 마리산으로 부르자는 움직임도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0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7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93
3282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492
3281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94
3280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495
3279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96
3278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98
3277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99
3276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499
3275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500
3274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500
3273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504
3272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507
3271 지슬 風文 2020.04.29 1508
3270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510
3269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16
3268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517
3267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18
3266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18
3265 내일러 風文 2024.01.03 1519
3264 까치발 風文 2023.11.20 1520
3263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521
3262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523
3261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5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