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7 15:33

개차산과 죽산

조회 수 906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차산과 죽산

경기도 안성 이죽면의 옛이름은 ‘개산’ 또는 ‘개차산’이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개산군은 본래 고구려 개차산군이었는데 경덕왕 때 이름을 바꾸었으며, 고려 때는 죽산(竹山)이라고 불렀다. 흥미로운 사실은 죽산의 옛이름으로 ‘개차’라는 말이 존재했다는 점이다.

‘개차’라는 말은 본래 ‘임금’을 뜻하는 말이었다. 이는 행주(幸州)의 옛이름인 ‘개백’에서도 확인된다. 행주는 본디 고구려 개백현(皆伯縣)이었는데 우왕현(遇王縣)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행주로 바뀐 땅이름이다. 이 ‘개백’은 한자 ‘왕’(王)과 대응되며, ‘개차’(옛음은 ‘가이지’)는 ‘대’[죽]와 대응된다. 땅이름 표기는 토박이말 단어의 첫음절을 한자음으로 쓰거나 그 말에 해당하는 한자를 찾아 맞옮긴다. 이런 원리에 따라 ‘개백’을 ‘왕’으로 옮겼고, ‘개차’는 ‘대’로 옮긴 셈이다. 한자 ‘대’는 큰 것뿐만 아니라 왕과도 관련이 있다.

중국 역사서인 <주서> 이역전 백제조에는 “왕의 성은 부여씨로 어라하라 불렀으며, 백성들은 건길지라 불렀는데, 중국말로는 왕이란 뜻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여기에 나타나는 ‘건길지’는 ‘건’과 ‘길지’로 이루어진 말이다. ‘건’은 몽골어 ‘칸’에 해당하며, ‘길지’는 ‘개차’와 마찬가지로 임금에 해당한다.

‘개차산’이 ‘죽산’이 된 것은 토박이말이 한자말로 바뀌는 과정과 관련이 있을 뿐 한자가 뜻하는 ‘대나무’와는 무관하다. 이처럼 땅이름 변화에는 우리말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경우가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4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28
3304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490
3303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666
3302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248
3301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1078
3300 관자놀이 바람의종 2007.05.02 11331
3299 근사하다 바람의종 2007.05.02 11358
3298 기구하다 바람의종 2007.05.06 13540
3297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927
3296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713
3295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080
3294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583
3293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791
3292 무동태우다 바람의종 2007.05.09 8839
3291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308
3290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160
3289 산통 깨다 바람의종 2007.05.10 11016
3288 상피 붙다 바람의종 2007.05.12 14808
3287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630
3286 선보다 바람의종 2007.05.15 8020
3285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857
3284 십상이다 바람의종 2007.05.16 7009
3283 아귀다툼 바람의종 2007.05.16 126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