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6 12:40

자욱길

조회 수 1186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욱길

늦여름 윗대 어른들 뫼터 벌초를 할 때 사람 발길이 드문 산길을 오르다 보면 길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적잖다. 사람이 다니지 않아 웃자란 풀이 길을 가려 버린 까닭이다. 이런 길이 ‘자욱길’이다.

“나뭇군의 자욱길을 좇아서 산을 타고 골을 넘어 나가다가 나중에 길을 잃고서 헤매는 중에 해가 저물었다.”(홍명희, <임꺽정>)

자욱은 ‘발자국’의 ‘자국’과 같은 말이다. 자욱길은 표준어 규정을 따른다면 ‘자국길’이라 할 수 있겠다. 발자욱과 발자국은 근대 국어에서 모두 쓰이던 말인데, 1957년 발행된 한글학회 <큰사전>에서 ‘자욱, 발자욱’을 비표준어로 처리한 뒤, 지금은 남과 북의 차이로 벌어졌다. ‘자욱, 발자욱’을 남녘에서는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지만, 북녘에서는 ‘자국, 발자국’의 동의어로 인정하고 있다.

북녘에서 ‘자욱, 발자욱’을 수용한 것은 아마도 현실적으로 많이 쓰인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남녘에서도 ‘발자욱’은 현실에서 ‘발자국’과 함께 쓰이고 있다. 이 점에서 ‘자욱’과 ‘발자욱’에 대해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자욱, 자국과 관련이 있는 낱말로 ‘자국걸음, 자국눈, 자국물, 자욱포수’ 등이 있다. 자국걸음은 ‘조심스럽게 디디는 걸음’, 자국눈은 ‘발자국이 겨우 생길 만큼 조금 내린 눈’, 자국물은 ‘발자국에 괸 물’이나 ‘아주 적은 물’, 자욱포수는 ‘동물의 발자국을 잘 쫓는 포수’를 일컫는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53
158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565
157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564
156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564
155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564
154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562
153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560
152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560
151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560
150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559
149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559
148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556
147 지슬 風文 2020.04.29 1555
146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55
145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55
144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555
143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555
142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553
141 상석 風文 2023.12.05 1552
140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風文 2022.09.20 1549
139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547
138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546
137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5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