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4 18:43

이마귀

조회 수 920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마귀

북녘말 ‘이마귀’는 [이마뀌]로 발음되므로 남녘 표기법으로는 ‘이맛귀’로 적는다. 이는 ‘머리카락을 경계로 하는 이마 위쪽의 양쪽 구석’을 말한다.

“모자는 좀 작을사하였지만 이마귀가 좀 벗어져올라간 시원해보이는 얼굴에 잘 어울리여 어딘가 친근미를 느끼게 하였다.” (장편소설 <1932년>)

이맛귀의 위치는 남성 탈모의 엠(M)꼴 탈모에서 머리가 빠진 부위다. 보기에서 묘사된 사람은 엠꼴 탈모 초기로 보인다. 이마 가운데 윗부분은 ‘이마전(북)/이맛전’이라고 한다. 이맛귀의 중간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마의 좌우측 바깥 언저리 부위는 특별한 명칭이 없다. 옆얼굴에서 볼의 윗부분을 말하는데, ‘옆이마’라고 할 수 있겠다. 옆이마에는 관자놀이가 있다.

이맛귀는 ‘이마’와 ‘귀’가 결합된 말이다. 귀는 구석, 모서리를 가리킨다. 귀가 결합된 낱말로는 ‘길귀·날귀·눈귀·마당귀’ 등이 있다. 길귀는 ‘갓길에 해당하는 말’이다. 날귀는 ‘대패나 끌과 같은 연장의 날 끝 양쪽 끝부분’이다. 눈귀는 ‘눈초리에 해당하는 북녘말’이다. 마당귀는 ‘마당 한쪽 귀퉁이’다.

이맛귀를 활용하면 로마자를 쓰지 않고도 남성 탈모 유형을 표현할 수 있다. ‘엠꼴 탈모’는 ‘이맛귀 탈모’, ‘오(O)형 탈모’는 ‘정수리 탈모’, ‘유(U)형 탈모’는 ‘윗머리 탈모’라면 된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3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7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669
3304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562
3303 ‘-데’와 ‘-대’의 구별 바람의종 2010.01.10 10202
3302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147
3301 ‘-든지’는 선택,‘-던지’는 회상 바람의종 2010.03.17 12244
3300 ‘-빼기’가 붙는 말 바람의종 2010.01.18 8417
3299 ‘-어하다’ 바람의종 2010.05.07 10787
3298 ‘-율’과 ‘-률’ 바람의종 2010.04.18 13097
3297 ‘-이’와 ‘-히’의 구별 바람의종 2010.08.11 10025
3296 ‘-째’와 ‘채’ 바람의종 2010.01.26 8672
3295 ‘100만여원’과 ‘100여만원’ 바람의종 2010.03.30 12385
3294 ‘Mac-,Mc-’의 한글 표기 바람의종 2010.03.03 11179
3293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432
3292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風文 2024.05.29 34
3291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398
3290 ‘~스런’ 風文 2023.12.29 1171
3289 ‘○○○ 의원입니다’ / ‘영업시운전’ 風文 2020.06.22 1861
3288 ‘ㄱ’과 ‘ㅂ’ 뒤의 된소리 바람의종 2010.05.17 12597
3287 ‘ㄹ’의 탈락 바람의종 2010.07.26 10540
3286 ‘가녁’과 ‘쏘다’ 바람의종 2010.05.12 13640
3285 ‘가로뜨다’와 ‘소행’ 바람의종 2010.07.09 14521
3284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209
3283 ‘강시울’과 ‘뒤매’ 바람의종 2010.06.20 133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