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7 09:26

굴레와 멍에

조회 수 757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굴레와 멍에

자유는 사람이 가장 간절히 바라는 바람이다. 그러나 온전하고 참된 자유는 하느님 홀로 누릴 수 있을 뿐이다. 사람은 몸과 마음에 얽힌 굴레와 멍에 탓에 자유를 누리기가 몹시 어렵다. 가끔 굴레를 벗고 멍에를 풀었을 적에 잠깐씩 맛이나 보며 살아가는 수밖에 없다.

‘굴레’는 소나 말의 머리에 씌워 목에다 매어놓는 얼개다. 소는 자라면 코뚜레를 꿴다. 고삐를 코뚜레에 매어 굴레 밑으로 넣은 다음 목뒤로 빼내어 뒤에서 사람이 잡고 부린다. 굴레가 고삐를 단단히 붙들어서 소가 부리는 사람의 뜻에 따르지 않을 수 없게 한다. 말은, 귀 아래로 내려와 콧등까지 이른 굴레의 양쪽 끝에 고삐를 매어서 굴레 밑으로 넣고 목뒤로 빼내어 뒤에서 사람이 잡고 부린다. 굴레가 고삐를 맬 수 있게 하고 움직이지 않게 하여 말이 부리는 사람의 뜻을 거스를 수 없도록 한다. ‘멍에’는 소나 말에게 수레나 쟁기 같은 도구를 끌게 하려고 목에다 메우는 ㅅ꼴의 막대다. 멍에 양쪽 끝에 멍에 줄을 매어서 소나 말의 목에다 단단히 묶어놓고, 수레나 쟁기 같은 도구 양쪽에 매인 줄을 다시 멍에 양쪽에다 매면 소나 말은 이제 도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오직 사람이 부리는 대로 도구를 끌고 앞으로 나아가는 수밖에 다른 길이 없다.

소든 말이든 굴레는 씌우고 벗겨야 하고, 멍에는 지우고 풀어야 한다. 멍에는 일을 할 적에만 메었다가 일이 끝나면 풀어서 벗어날 수 있지만, 굴레는 한 번 쓰고 나면 죽을 때까지 자나 깨나 쓰고 있어서 더욱 괴로운 것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4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389
3326 댄싱 나인 시즌 스리 風文 2023.04.21 1042
3325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976
3324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110
3323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309
3322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362
3321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432
3320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158
3319 “김” 風文 2023.03.06 1584
3318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173
3317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210
3316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227
3315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454
3314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147
3313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642
3312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403
3311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260
3310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15
3309 ○○노조 風文 2022.12.26 1254
33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30
3307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666
3306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1816
3305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3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