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2 02:45

고양이

조회 수 792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양이

‘고양이 앞에 쥐 꼴’,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긴 격’ 등은 고양이를 소재로 한 대표적인 속담이다. ‘고양이’(猫)는 15세기 문헌에서는 ‘괴’로 나타난다. 이 ‘괴’에 ‘작은 것’을 뜻하는 뒷가지 ‘-앙이’가 연결되어 ‘괴양이>고양이’가 된다. ‘고양이’는 17세기에 보이며 19세기부터 많이 썼다.

‘고양이’는 방언에서 매우 다양하게 쓰인다. 그 부류를 크게 나누어 보면 ‘괴·고양이·고니’로 나눌 수 있다. ‘괴’는 중세국어의 형태를 쓰는 것으로 지역에 따라 ‘고이·괴·궤·귀’로 발음한다. ‘고양이’는 ‘고앵이·고얭이·귀앵이·귀얭이·괴양이·괴앵이·광이·괭이·괘이·궤이’로 발음한다.

‘고니’(鬼尼)는 12세기 문헌인 <계림유사>에 보이는 어휘로 ‘고니’에 뒷가지 ‘-앙이’가 연결되어 ‘고냉이·고넹이·고냥이·꼬냥이·고넁이·개냉이·고내기·괘내기·귀내기·괴대기’로 발음한다. 소설 <토지>의 “니내 할 것 없이 사우는 고내기 새끼, 다 마찬가지 아니겄소”란 문장에서 이 방언을 볼 수 있다.

그 밖에도 ‘새깨미·살찡이’ 등을 쓰고 있다. 북쪽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것 외에도 ‘고내·고냬·고내이·고애·고얘·공애·공얘’ 등의 발음을 사용하고 있다. ‘고양이’는 매우 다양한 발음으로 고장에서 쓰고 있다. 마치 오늘날 우리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보는 듯하다. “약빠른 고양이 밤눈 어둡다”는 속담이 떠오른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6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07
136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85
135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285
134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284
133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283
132 내일러 風文 2024.01.03 1282
131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279
130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277
129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275
128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273
127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271
126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270
125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270
124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269
123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268
122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268
121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267
120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267
119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263
118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261
117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256
116 상석 風文 2023.12.05 1255
115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2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