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8 05:37

말소리의 높낮이

조회 수 733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소리의 높낮이

우리는 같은 말소리라도 높은소리로 낼 수도 있고 낮은소리로 발음할 수도 있다. 그런데 세계 언어 가운데는 같은 소리를 높은소리로 내는 말과 낮은소리로 내는 말이 서로 다른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아프리카 가나말에는 높은소리와 낮은소리가 구별되어 쓰인다. [papa]라는 말을 살펴보자. 앞의 [pa]를 높게 내면 ‘훌륭한’이라는 뜻이 된다. 뒤의 [pa]를 높게 내면 ‘아버지’라는 뜻이 된다. 그런데 두 소리 모두 낮게 내면 ‘종려나뭇잎 부채’를 뜻한다. 이처럼 말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서로 다른 낱말이 된다.

이번에는 높은소리, 낮은소리에다 가운뎃소리까지 구별되어 세 단계로 쓰이는 말을 살펴보자. 나이지리아말에서 [kan]을 높은소리로 내면 ‘깨뜨리다’, 가운뎃소리로 내면 ‘맛이 시다’, 낮은소리로 내면 ‘도착하다’라는 뜻이 된다. 이처럼 높낮이가 낱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말이 바로 이웃 중국말이다. 중국말에는 무려 네 가지 높낮이가 구별된다. 따라서 중국말로 대화할 때는 높낮이 발음을 정확하게 하지 않으면 뜻이 통하지 않는다.

우리말은 어떨까? 옛말에는 이런 높낮이 구별이 있었지만, 지금은 일부 고장말을 제외하고는 사라졌다. 15세기에 ‘꽃’은 낮은소리였고, ‘풀’은 높은소리였고, ‘별’은 낮았다가 높아가는 소리였다. 그러나 요즘은 ‘꽃·풀’은 짧은소리로, ‘별’은 긴소리로 바뀌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4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9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944
3348 쓰봉 風文 2023.11.16 1370
3347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371
3346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風文 2022.09.20 1372
3345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風文 2022.08.30 1374
3344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375
3343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377
3342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379
3341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383
3340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388
3339 인과와 편향, 같잖다 風文 2022.10.10 1389
3338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390
3337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391
3336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392
3335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風文 2022.07.26 1395
3334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395
3333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397
3332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401
3331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402
3330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405
3329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405
3328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406
3327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4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