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8 05:37

말소리의 높낮이

조회 수 715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소리의 높낮이

우리는 같은 말소리라도 높은소리로 낼 수도 있고 낮은소리로 발음할 수도 있다. 그런데 세계 언어 가운데는 같은 소리를 높은소리로 내는 말과 낮은소리로 내는 말이 서로 다른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아프리카 가나말에는 높은소리와 낮은소리가 구별되어 쓰인다. [papa]라는 말을 살펴보자. 앞의 [pa]를 높게 내면 ‘훌륭한’이라는 뜻이 된다. 뒤의 [pa]를 높게 내면 ‘아버지’라는 뜻이 된다. 그런데 두 소리 모두 낮게 내면 ‘종려나뭇잎 부채’를 뜻한다. 이처럼 말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서로 다른 낱말이 된다.

이번에는 높은소리, 낮은소리에다 가운뎃소리까지 구별되어 세 단계로 쓰이는 말을 살펴보자. 나이지리아말에서 [kan]을 높은소리로 내면 ‘깨뜨리다’, 가운뎃소리로 내면 ‘맛이 시다’, 낮은소리로 내면 ‘도착하다’라는 뜻이 된다. 이처럼 높낮이가 낱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말이 바로 이웃 중국말이다. 중국말에는 무려 네 가지 높낮이가 구별된다. 따라서 중국말로 대화할 때는 높낮이 발음을 정확하게 하지 않으면 뜻이 통하지 않는다.

우리말은 어떨까? 옛말에는 이런 높낮이 구별이 있었지만, 지금은 일부 고장말을 제외하고는 사라졌다. 15세기에 ‘꽃’은 낮은소리였고, ‘풀’은 높은소리였고, ‘별’은 낮았다가 높아가는 소리였다. 그러나 요즘은 ‘꽃·풀’은 짧은소리로, ‘별’은 긴소리로 바뀌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2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7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649
3348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314
3347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483
334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274
3345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559
3344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198
3343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492
3342 망신 風文 2023.06.09 1556
3341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449
3340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301
3339 김 여사 風文 2023.05.31 1216
3338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616
3337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07
333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442
3335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296
3334 ‘이’와 ‘히’ 風文 2023.05.26 1259
3333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279
3332 단골 風文 2023.05.22 1417
3331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258
3330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285
3329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155
3328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381
3327 너무 風文 2023.04.24 14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