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2 16:56

뫼와 갓

조회 수 750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뫼와 갓

들온말을 즐겨 쓰는 이들은 토박이말에는 이름씨 낱말이 모자라고, 한자말은 짤막하고 또렷한데 토박이말은 늘어지고 너절하다고 한다. 그런 소리가 얼마나 믿을 수 없는지를 보이는 말 하나를 들어보자.

‘산’이 그런 보기다. 얼마나 많이 쓰는 말이며 얼마나 짤막하고 또렷한가! 이것을 끌어 쓰기까지는 토박이 이름씨가 없었고, 이것이 들어와 우리 이름씨 낱말이 늘었을까? 사실은 거꾸로다. ‘산’ 하나가 토박이말 셋을 잡아먹었고, 그렇게 먹힌 토박이말은 모두 ‘산’처럼 짤막하고 또렷하였다. ‘뫼’와 ‘갓’과 ‘재’가 모두 ‘산’한테 자리를 내준 말들이다.

‘갓’은 집을 짓거나 연장을 만들거나 보를 막을 적에 쓰려고 일부러 가꾸는 ‘뫼’다. ‘갓’은 나무를 써야 할 때가 아니면 아무도 손을 못 대도록 오가면서 늘 지킨다. 멀리 떨어져 있으면 일부러 ‘갓지기’를 세워 지키도록 한다. 도회 사람들은 ‘갓’을 자주 보지 못하니까 머리에 쓰는 ‘갓’과 헷갈려서 ‘묏갓’이라 하다가 ‘멧갓’으로 사전에 올랐다.

‘재’는 마을 뒤를 둘러 감싸는 ‘뫼’다. 마을을 둘러 감싸고 있기에 오르내리고 넘나들며 길도 내고 밭도 만들어 삶터로 삼는다. 난리라도 나면 사람들은 모두 ‘잿마루’로 올라 세상을 내려다보며 마을을 지키고 살 길을 찾는다. ‘뫼’는 ‘갓’과 ‘재’를 싸잡고 그보다 높고 커다란 것까지 뜻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411
114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520
113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519
112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519
111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519
110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518
109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518
10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518
107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516
106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516
105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516
104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514
103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511
102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511
101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508
100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507
99 인과와 편향, 같잖다 風文 2022.10.10 1507
98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505
97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501
96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494
95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491
94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1491
93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4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