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2 16:56

뫼와 갓

조회 수 732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뫼와 갓

들온말을 즐겨 쓰는 이들은 토박이말에는 이름씨 낱말이 모자라고, 한자말은 짤막하고 또렷한데 토박이말은 늘어지고 너절하다고 한다. 그런 소리가 얼마나 믿을 수 없는지를 보이는 말 하나를 들어보자.

‘산’이 그런 보기다. 얼마나 많이 쓰는 말이며 얼마나 짤막하고 또렷한가! 이것을 끌어 쓰기까지는 토박이 이름씨가 없었고, 이것이 들어와 우리 이름씨 낱말이 늘었을까? 사실은 거꾸로다. ‘산’ 하나가 토박이말 셋을 잡아먹었고, 그렇게 먹힌 토박이말은 모두 ‘산’처럼 짤막하고 또렷하였다. ‘뫼’와 ‘갓’과 ‘재’가 모두 ‘산’한테 자리를 내준 말들이다.

‘갓’은 집을 짓거나 연장을 만들거나 보를 막을 적에 쓰려고 일부러 가꾸는 ‘뫼’다. ‘갓’은 나무를 써야 할 때가 아니면 아무도 손을 못 대도록 오가면서 늘 지킨다. 멀리 떨어져 있으면 일부러 ‘갓지기’를 세워 지키도록 한다. 도회 사람들은 ‘갓’을 자주 보지 못하니까 머리에 쓰는 ‘갓’과 헷갈려서 ‘묏갓’이라 하다가 ‘멧갓’으로 사전에 올랐다.

‘재’는 마을 뒤를 둘러 감싸는 ‘뫼’다. 마을을 둘러 감싸고 있기에 오르내리고 넘나들며 길도 내고 밭도 만들어 삶터로 삼는다. 난리라도 나면 사람들은 모두 ‘잿마루’로 올라 세상을 내려다보며 마을을 지키고 살 길을 찾는다. ‘뫼’는 ‘갓’과 ‘재’를 싸잡고 그보다 높고 커다란 것까지 뜻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85
114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425
113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216
112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1065
111 댄싱 나인 시즌 스리 風文 2023.04.21 1150
110 너무 風文 2023.04.24 1525
109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511
108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293
107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99
106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355
105 단골 風文 2023.05.22 1556
104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89
103 ‘이’와 ‘히’ 風文 2023.05.26 1419
102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84
101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550
100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87
99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762
98 김 여사 風文 2023.05.31 1332
97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474
96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570
95 망신 風文 2023.06.09 1740
94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635
93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3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