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9 01:19

개보름

조회 수 735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보름

음력으로 그 달의 열닷새째 되는 날을 ‘보름’ 또는 ‘보름날’이라 부른다. 일 년에 열두 보름 중 대표적인 것이 정월 대보름과 팔월대보름이다.정월 대보름에는 새벽에 귀밝이술을 마시고 부럼을 깨물며 묵은나물과 오곡밥 따위를 먹는다. 팔월 대보름은 ‘한가위·추석’이라 부르는데,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 따위의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낸다. 둘 다 명절이어서 선조들은 다른 날보다 정성스레 음식을 장만하여 배불리 먹었다. 정월 대보름과 관련된 말로 ‘개보름’이라는 말이 있는데, 큰사전에는 아직 오르지 않았다.

“어허, 까딱했더라면 농민군들 보름이 개보름이 될 뻔했는디, 충청도 큰애기 덕분에 보름 한 번 걸게 쇠어 보겄네.”(송기숙 〈녹두장군〉)
“게다가 농촌에까지 신정을 쇠어 봐라. 그야말로 대보름이 개보름이지?”(이문구 〈산 너머 남촌〉)
“당신 안 가면 개보름 쇨까 싶어 그래?” 하고 퉁명스럽게 말했다.”(한승원 〈해신의 늪〉)

‘개보름’은 ‘남들이 다 잘 먹고 지내는 날에 변변히 먹지도 못하고 지내게 된 것’을 비유해 이르는 말이다. 지난날, 정월 대보름날에 개한테 음식을 먹이면 그해에 파리가 끓는다고 여겨 개를 매어 두고 음식을 먹이지 않던 풍습에서 나온 말이다. 이번 팔월대보름은 윤칠월로 늦들어 햇곡식 햇과일이 풍성한 한가위였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12
92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221
91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221
90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220
89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219
88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216
87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213
86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風文 2022.07.26 1213
85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212
84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風文 2022.06.21 1212
83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212
82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風文 2022.09.20 1211
81 쓰봉 風文 2023.11.16 1210
80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1209
79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風文 2022.08.04 1208
78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207
77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206
76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205
75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01
7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201
73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200
72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198
7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風文 2022.05.12 11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